
IMF 이후 눈에 보이는 시장인 대형 백화점, 할인마트만이 아닌 눈에 보이지 않는 주식, 외환시장의 규모가 확대되면서 시장 논리가 우리 사회의 모든 영역을 압도하기 시작하였다. 시장으로부터 소외될지 모른다는 공포감도 강박관념이 되어 개인을 압박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책은 시장 논리를 순화·조절하여 인간을 위한 유용한 도구로 삼자고 주장하면서 시장의 문제에 얽힌 인간의 문제, 특히 비시장적이거나 반시장적이라고 여겨지던 인문학적 문제들을 다룬다. 전반부(제1장~제6장)에서는 역사 시대에 상응하는 시장과 인문학의 관계를 실험적으로 도식화하고 경제학, 철학, 문학 등 인문학의 시선으로 시장을 고찰한다. 후반부(제7장~제12장)는 역사학, 언어·문학, 영화 등 구체적인 영역에서 나타나는 시장의 모습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이 책을 통해 우리 사회를 관통하는 논제인 ‘시장’에 인문학적으로 접근하여 만연한 시장 논리를 바라보는 다양한 분야 연구자들의 해석적 시각을 엿볼 수 있다.


서문
첫 번째 강의 : 왜 \\'시장과 인문학\\'인가
두 번째 강의 : 시장: 성공, 실패 그리고 조절
세 번째 강의 : 시장, 국가, 시민사회 그리고 공공영역으로서의 복지
네 번째 강의 : 공자와 자본주의, 그리고 신자유주의
다섯 번째 강의 : 시장을 바라보는 인문학의 시선들
여섯 번째 강의 : 문화의 시대와 문화역량
일곱 번째 강의 : 재래시장을 소재로 한 몇 편의 작품 읽기
여덟 번째 강의 : 역사적 자본주의의 수정과 아시아
아홉 번째 강의 : 시장의 신화화
열 번째 강의 : 비정규직 하녀의 노동과 섹슈얼리티
열한 번째 강의 : 한류의 확산과 문화 상품화 과정에서 인문학의 선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