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고스와 필로소피아
    전재원

    16,000 원
    페이지 : 300
    I S B N : 9788971803943
    출판일 : 2014-02-21

인간은 오래전부터 자연 만물의 이치를 탐구해 왔다. 그 도구는 언제나 ‘말’이자 ‘논리’이다. 즉 인간은 ‘로고스’로써 ‘필로소피아’를 추구해 온 것이다. 로고스와 필로소피아는 인간의 근원적인 질문과 그 해답의 탐색 과정을 해설하는 서양철학서이다. 다양한 주제별로 쉽고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어, 비전공자도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다. 이 책은 총 35장에 걸쳐 여러 주제에 따라 ‘로고스’와 ‘필로소피아’를 다양하게 보여 준다. ‘악어의 눈물’, ‘동굴의 비유’, ‘죄수 딜레마’ 등은 이야기를 들려주는 방식으로 서술하였고, ‘철학’, ‘역설’, ‘양도논법’ 등의 개념은 그 어원을 풀이하면서 설명하였다. ‘애매와 모호’, ‘반대와 모순’, ‘진리와 지식’, ‘규범윤리학과 가치윤리학’ 등은 구체적인 예로써 알기 쉽게 해설하였으며, ‘공리주의’, ‘실용주의’, ‘현상학’ 등의 사상에 대해서는 해당 철학자들의 저서와 핵심어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데카르트의 『방법서설』, 헤겔의 『정신현상학』과 같은 고전도 각각 한 장을 할애하여 소개하였다.


전재원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에서 오랫동안 강의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10개의 키워드로 이해하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논리와 비판적 사고』 등이 있으며, 「아리스토텔레스와 실천적 진리」를 비롯한 25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번역서로는 『논리학』, 『기호논리학』, 『사회정치철학』등이 있다.


서문
악어의 눈물이 왜 거짓 눈물일까요?
철학이라는 말의 뜻이 뭘까요?
애매한 웃음일까요, 모호한 웃음일까요?
동굴의 비유를 아시나요?
반대관계와 모순관계는 비슷한 것일까요?
거짓말쟁이의 역설
죄수의 딜레마
전제는 앞에 있고 결론은 뒤에 있는 걸까요?
연역논증과 귀납논증의 차이가 무엇일까요?
가언논증에 대하여
플라토닉 러브가 어떤 것일까요?
미메시스가 궁금해요?
심미적 인간과 윤리적 인간
존재의 신비
지식과 진리의 차이가 궁금해요?
표상의 세계와 의지의 세계
규범윤리학과 가치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의 가치윤리학과 칸트의 의무윤리학
메타윤리학
벤담이 들려주는 도덕 및 입법의 원리
공리주의 윤리설
부의 분배와 사회정의
실용주의의 진리론
흥미와 관심의 차이가 궁금해요?
하르트만의 존재론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신은 존재할까요?
형이상학을 거부한 논리실증주의
로고스의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
최초의 과학자 아낙시만드로스
엠페도클레스를 아시나요?
데카르트의 『방법서설』
헤겔의 『정신현상학』
후설과 현상학
합리성과 비합리성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