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미즘의 생명사상과 영성이론』은 방대하고 심오한 토마스 아퀴나스 사상 가운데, 특히 철학적으로 다루기가 쉽지 않다는 이유로 비교적 뒤로 미뤄져 왔던 ‘생명’과 ‘영성(靈性)’을 논한 책이다. 모든 인간실존의 지평을 생명이라는 개념을 통해 해명하고자 한 것이다. 인간의 생의 여정에 대해 논하자면 그 시작은 생명이요 마지막은 영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인간의 생애가 시작되어 유지되고 죽음으로 귀결되는 동안 일어나는 생명활동 전반을 관찰하면서, 생명부터 영성까지의 제 양상에 대한 사유를 단계적으로 전개하였다.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유라는 의미로서 토미즘은 그리스도교적 세계관이 인간의 삶과 사유를 지배했던 중세에 시작된 것이지만, 저자는 이 책에서의 논의를 통해 현대를 살아가는 지성인들이 삶의 다양한 지평을 이해하고 새로운 사유를 도출하기까지 나아가기를 권하고 있다. 새로운 사유로 나아가기 위한 발판으로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유뿐만 아니라 그에게 반대하거나 노선을 달리하는 견해들까지 포괄적으로 다루면서 이해와 화합을 모색하고 있는 점 역시 이 책의 특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명곤
경북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리옹 가톨릭대학에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영혼론」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파리1대학에서 철학사 DEA 학위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인간의 본질과 실재론적인 영성」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예술과 미학에도 관심이 많아 파리1대학의 예술대학에서 조형미술(한국화) 석사 학위와 미학 DEA 학위를 취득하였다. 귀국 후 대구가톨릭대학교 연구교수, 경북대학교 전임연구원을 거쳐 현재는 제주대학교 철학과에 재직 중이다. 고·중세철학, 종교철학, 예술철학 등을 강의하고 있으며, 2014년에는 <영남미술대전>의 초대작가로 등단하기도 하였다. 주된 철학적 관심은 인간학, 신비주의, 영성 그리고 프랑스 가톨릭 철학자들의 사상 등이다. 저서는 『토마스 아퀴나스 읽기』, 『키르케고르 읽기』, 『역사 속의 여성 신비가와 존재의 신비』 등 6권이 있고, 역서는 『영성의 파노라마』, 『토마스 아퀴나스의 존재의 형이상학』, 『진리론』, 루이 라벨의 『자아와 그 운명』, 가브리엘 마르셀의 『존재의 신비I』 등이 있다. 또한 「중세철학 및 토마스 아퀴나스」 관련 논문 20여 편과, 루이 라벨, 가브리엘 마르셀, 엠마누엘 무니에 등 프랑스 가톨릭 철학자들에 관한 논문 8편, 키르케고르 관련 논문 6편, 그리고 예술철학 관련 논문 5편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E-Mail: bosco4181@hanmail.net
서문
제1장 들어가는 말 / 인류의 생명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1. 생명의 기원에 대한 과학자들의 가설들
2. 진화론과 엔트로피의 법칙
3. 여정의 인간
제2장 / 근대 이후 생명에 관한 사조와 인류의 자아에 대한 고민
1. 생명에 관한 현대 과학의 사유와 그 한계들
2. 생명에 관한 새로운 과학적 사유와 현대의 형이상학적 사유
3. 생명사상에 관한 새로운 비전의 요청과 인류의 자기 동일성
제3장 / 토마스 아퀴나스의 생명의 유기체성과 생명의 형이상학적 지평
1. 생명의 기원과 창조의 지속으로서의 진화현상
2. 존재(esse)의 지평과 생명현상의 근원
3. 생명의 형이상학적 지평과 신비주의적 지평
4. 생명의 원리로서의 영혼과 생명의 다양한 양태
5. 개별적인 영혼과 생명의 개별성
제4장 / 인간생명의 특수성으로서 감각인식 - 생명의 감성적 지평
1. 감성인식에 관한 몇 가지 견해들
2. 생명의 개화 그리고 지적 생명현상의 대지로서의 감각적 생명활동
3. 감각적 생명활동에 대한 현존(présence)으로서의 감성 혹은 정념(passio)
4. 생명의 지향성과 상승의 운동
제5장 / 생명현상의 다양한 지평과 지성의 역할
1. 인간생명의 특수성으로서 지성(의식)과의 관계성 - 윤리적 지평
2. 인간생명의 특수성으로서의 창조성 - 미학적 지평
3. 인간생명의 특수성과 영성 - 종교적 지평
제6장 / 생명의 지향성과 지성 그리고 영성적 삶
1. 생명의 지향성과 실존의 다양성
2. 의식의 지향성과 영성적 삶의 요청
3. 정신적인 삶과 영성적인 삶
제7장 / 토미즘의 영성과 초자연적인 실재론
1. 영성적 삶의 제 조건들과 초자연적 실재
2. 심미적·윤리적 삶과 영성적 삶
3. 영성적 삶에 있어서 신학적인 덕과 초자연적 실재로서의 ‘Caritas’
제8장 맺음말 / 토미즘의 생명사상과 영성사상 그리고 미래의 비전
3. 토미즘의 현대적 영성에 관한 새로운 비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