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가 지식기반사회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지식경제의 기본원리는 개인은 물론 도시와 지역, 나아가 국가의 경쟁력까지 좌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담론이 현재 우리 도시와 지역 논의에서 제대로 포착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지식도시에서는 그 특성상 포지티브 피드백에 의한 자기 강화적 메커니즘과 네트워크 경제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될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효과를 촉발하는 핵심적 인자 내지 결과로서 지식기반산업의 입지적 측면과 산업경쟁력에 주목하였으며 이를 지식도시의 입지적 특성, 산업경쟁력, 혁신체계라는 3개 부로 나누어 다루었다. 현실변화속도와 그에 따른 문제양상을 해석하고 대안을 찾고자 한 저자의 학문적 노력의 집적이라 할 수 있다. 실제 지자체와 기업의 실태 조사분석을 통해 이론모형을 적용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현실적 지식도시의 이론과 체계를 세우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론적으로 논의되는 사항들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의 길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

박 종 화
미국 럿거스대학교(Rutgers Univ.) 도시계획 및 정책개발학과를 졸업(PhD)하고 1990년 3월부터 경북대학교 행정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역산업정책의 구조와 역학관계 그리고 개방과정에서 파생되는 갈등 관리 부분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그간 『도시경영론』(제2개정판, 박영사, 2009)을 포함하여 6권의 저서와 1권의 역서, 그리고 다수의 관련 논문을 저술했다. 1997년에는 싱가포르 국립대학교(NUS) 건물 및 부동산학부 펠로우십 교수, 그리고 2007년에는 미국 윌리엄스대학교 경제학과 연구교수로 근무하였다.

제1부 지식도시와 입지적 특성
제1장 지식기반산업의 입지
제2장 형성기 클러스터의 입지특성
제3장 지역산업정책과 경로의 존성
제2부 지식도시와 산업경쟁력
제4장 지방정부 기업지원의 전략적 실행모형
제5장 도시문화산업의 경쟁력
제6장 사회적 자본과 도시경쟁력
제3부 지식도시와 혁신체계
제7장 지역혁신체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역기능성
출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