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은 동아시아 불교에서 널리 읽힌 기본 경전으로, 대승불교의 핵심이론과 사상적 입장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총론화하고, 불교의 여러 가지 교리를 종합적으로 정리한 문헌으로 알려져 있다. 『대승기신론 』은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일찍이 주석서가 저술되어 중국 수대(隋代) 혜원(慧遠)의 『대승기신론의소(大乘起信論義疏) 』, 신라 원효(元曉)의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와 『대승기신론별기(大乘起信論別記) 』, 당대(唐代) 법장(法藏)의 『대승기신론의기(大乘起信論義記) 』를 비롯한 여러 문헌들이 유통되었다. 그런데 최근 간경도감본 법장 『대승기신론소 』의 존재가 세상에 조금씩 알려지게 되었다. 한국에서는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경전과 장소(章疏)가 다수 간행되었지만 법장 『대승기신론소 』의 간행 사실은 알려지지 않았다.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간본이 출현함에 따라 조선시대 『대승기신론 』 연구에 대한 해석이 바뀌게 될 것이고, 조선 후기 『기신론사기(起信論私記) 』에 활용되었던 법장 『대승기신론소 』의 정체를 밝힐 수 있는 새로운 단서가 마련된 셈이다. 이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먼저 ‘교감’에서는 일본과 한국 등에서 간행된 20종의 법장 『대승기신론소 』 관련 텍스트를 저본과 기준본, 비교본과 참조본으로 나누어 교감하였다. 기존에 일본에서도 법장 『대승기신론의기 』에 대한 교감을 시도한 적이 있지만 전체는 아니었고 교감 또한 주석을 위한 방편에 머물렀다. 그러나 이 책은 간경도감 간행본을 저본으로 삼고, 대정장(大正藏) 수록본을 비교의 기준본으로 삼았으며, 텍스트 가운데 벌레 먹은 곳이 많거나 단절된 부분이 많은 경우는 참조본으로 활용하여 서문과 본문을 전부 아우르는 한ㆍ중ㆍ일 최초의 교감이라는 데 큰 의의가 있다. 특히 간경도감 간행본은 대각국사 의천(義天)이 간행한 교장(敎藏)의 중간본이면서, 기존에 유통된 법장 『대승기신론의기 』와는 구성과 자구가 상당히 다른 판본이라는 점에서, 이 교감이 향후 법장의 『대승기신론소 』 연구를 진전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다음으로 ‘논고’에서는 법장의 『대승기신론소 』 상중하 3권을 서지적으로 분석한 다음 고려 판본 및 간경도감본을 중심으로 계통을 분석하는 등 문헌학적 측면에서 고찰하였고, 중국과 일본에서 그것이 각각 어떻게 유통되었는지 자세히 밝혔으며, 그 내용을 불교사상사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끝으로 ‘원문 영인’을 책 말미에 수록하여 관련 연구자들이 간경도감본 법장 『대승기신론소 』 원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책의 핵심은 그동안 존재조차 알지 못했던 간경도감본 법장 『대승기신론소 』의 완본이 이 책을 통해 처음으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는 점이다. 이 책은 국내외에 산재되어 있는 20종의 판본(미공개 판본 포함)을 수집한 다음 간경도감본 법장 『대승기신론소 』와 각 글자를 일일이 대교(對校)하여 관련 연구자들에게 기본적인 정보원을 제공한다. 향후 이 책의 교감본이 동아시아뿐 아니라 세계 학계의 법장 『대승기신론소 』 연구에 널리 활용됨으로써 후학들에 의해 법장 『대승기신론소 』의 정본(正本)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남권희
전(前)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주요 저서로 『지식정보의 소통과 한국 금속활자 발달사』(2018) 등이 있다.|||1962년 서울 출생. 1981년 한국외국어대학교 졸업. 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철학종교 전공 석·박사과정 수료. 1999년 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철학종교 전공 박사학위 취득. 2007년 도쿄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과 인도철학 불교학 전공 박사학위 취득.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HK교수 및 한문불전번역학과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균여 연구로 박사학위 취득. 일본 東京대학대학원 인도철학·불교학과에서 일본화엄사상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화엄학을 주로 연구하면서, 한국불교의 확장성을 탐구하고 있다.
주요 역서로 『화엄사상의 연구』(2020), 역주서로 견등의 『화엄일승성불묘의』(2016), 저서로 『平安期華?…思想の?究 ― 東アジア華?…思想の視座より ―』(2015), 『균여화엄사상연구』(2006)가 있고, 교감텍스트로 Kegonshuriky?gi(East Asian Buddhhist Litreature vol.1, 2020)를 발표하였고, 그 외 「『보살계본종요초』의 문헌적 의의와 신라 태현에 대한 인식」(2020), 「화엄경문답에 법장의 영향은 보이는가?」(『보조사상』, 2019), 「順高の『起信論本疏?集記』における元?引用の意義」(2018) 등이 있다.|||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동아시아불교 전공,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박사학위 취득(2014) 주요 저서로 『석마하연론(?摩訶衍論)의 사상적 지평』(2021)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북미불교의 원효 인식과 이해」(2016), “The Understanding of the Discriminating Consciousness and the True Consciousness in the Silla Commentaries on the Dashengqixinlun”(2020) 등이 있다. |||독립행정법인 국립문화재기구 교토국립박물관 학예부 미술실 연구원 불교문헌학 전공, 일본 국제불교학대학원대학(國際佛敎學大學院大學)에서 「『往生禮讚偈』の文獻學的?究: 古寫經本 『集諸經?禮懺儀』 卷下を用いて」로 박사학위 취득(2017) 「岩屋寺藏思溪版大藏經の來?」(2019), 「思溪版大藏經?究の回顧と課題」(2016) 등 다수의 문헌학적 논고가 있다.

서문
일러두기
교감 경위
교감
刊經都監 간행 法藏의 『大乘起信論?』 敎藏本의 서지적 분석
한국전적문화재연구소 남권희(南權熙)
Ⅰ. 머리말
Ⅱ. 형태 사항
Ⅲ. 『大乘起信論疏』의 찬자와 성립
Ⅳ. 한국 간행의 『大乘起信論疏』 현존 판본
Ⅴ. 刊經都監版 法藏疏의 서지적 특징
Ⅵ. 『大乘起信論?』와 『大乘起信論義記』의 본문 비교(사례)
Ⅶ. 1461년 敎藏 간행의 기록
Ⅷ. 맺음말
중국에서 법장 『기신론소』의 유통에 대해서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김지연(金知姸)
Ⅰ. 시작하는 말
Ⅱ. 『법장소』 단독의 시대
Ⅲ. 『법장소』와 『종밀소』의 공존시대
Ⅳ. 『법장소』가 『종밀소』로 대체된 시대
Ⅴ. 매듭짓는 말
법장 『기신론소』의 간경도감본과 대정장본의 사상적 상위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교수 김천학(金天鶴)
Ⅰ. 문제의 소재
Ⅱ. 능전교체(能詮敎體)의 상위
Ⅲ. 불각(不覺)과 상사각(相似覺)에 대한 해석의 상위
Ⅳ. 결론
일본에서의 법장(法藏) 『기신론소(起信論疏)』의 유전
京都?立博物館 ?芸部美術室 ?究員 우에스기 토모후사(上杉智英)
Ⅰ. 머리말
Ⅱ. 대정장본의 저본·대교본
Ⅲ. 일본에 전래된 고사본과 고간본
Ⅳ. 맺는 말
원문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