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은 통일 문제에 관심 있는 독자와 교육을 담당하는 교육자들이 급변하는 통일 환경을 이해하고, 분단과 통일 문제를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민족통일 의지를 함양케 하기 위하여 집필되었다. 통일교육의 성격과 목표, 내용과 방법을 연계하는 교육과정론의 기본 정신을 살려 총 6개의 장으로 구성하였으며, 부록에는 2009년 개정된 북한 헌법과 그간의 남북간 합의 문헌을 수록하였다.
먼저 제1장은 통일교육의 기본 이해를 돕기 위하여 통일교육의 개념, 목적, 필요성을 이론적 측면에서 개관하였고, 이어 제2장에서는 통일을 위한 북한 체제의 기본 이해를, 제3장에서는 북한 김정일 정권의 이해 문제를 다루었다. 연이은 제4장에서는 그간 진행된 대북 정책과 남북관계의 이해를, 제5장에서는 분단국의 통일 문제를 구조적·체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마지막 제6장에서는 학교교육이나 사회교육을 통해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통일교육의 방법과 기법을 제시하였다.
이 책은 그간 무분별하게 논의되고 있는 통일교육에 관한 기존의 이론과 방식을 교육과정론적 입장에서 분석·정비하여, 통일교육의 적실성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통일 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제고할 뿐 아니라, 정치학계나 교육학계의 이 분야 연구에 교육과정론적 접근 방식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배 한 동
저자 약력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졸
경북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졸
독일 아이히슈로쓰 정치교육원 수료
대한정치학회 회장 역임
한국 도덕윤리과 교육학회 회장 역임
학술징흥재단 남북학술교류 협력위원장 역임
전국 국공립대학교수협의회 상임회장 역임
6·25 공동선언 실천 남측학술본부 공동대표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
경북대학교 국제대학원 북한학 전공 교수
주요 저서
국민윤리(공저, 법문사, 1986)
유로코뮤니즘, 로이 가드슨, 스테탄 하슬러 저(역서, 형설출판사, 1987)
유로코뮤니즘 연구(형설출판사, 1988)
참된 삶의 길(공편, 중앙적성, 1995)
북한신론(공저, 대왕사, 2001)
도덕과 교육론(공저, 교육과학사, 2002)
새로운 북한이해(공저, 경북대학교출판부, 2003)
재외 한인 언론의 역사와 현황 기초 연구(공저, 집문당, 2005)
민주시민교육론(경북대학교출판부, 2006,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外 다수

제1장 통일교육의 기본 이해
통일교육의 개념 / 통일교육의 성격 / 통일교육의 필요성 / 통일교육의 목표 / 통일교육의 교과별 내용 분석 / 통일교육의 지도 지침 / 학교 통일교육의 개선 과제
제2장 통일을 위한 북한체제의 기본 이해
북한 이해의 기본 관점 / 북한 정치체제의 이해 / 북한 경제의 구조적 이해 / 북한의 문화.예술 정책 / 북한 교육의 특징 / 북한 가정생활의 특징 / 북한 사회의 조직 생활
제3장 통일을 위한 김정일 정권의 이해
김정일의 연보 / 김정일의 권력 세습 과정 / 김정일의 통치 이념과 슬로건 / 김정일의 통치 방식 / 김정일의 성격과 리더십 분석 / 김정일 체제의 특징 / 김정일 체제의 당면 과제
제4장 통일을 위한 남북관계의 이해
대북 정책의 성격과 방향 / 남북 정상회담과 교류.협력 과제 / 대북 정책의 국민적 합의 기반 강화 방안 / 북한의 개혁.개방 현황과 전망 / 북한의 정책 변화의 변수와 그 전망 / 북한의 개혁?개방의 성격과 전망 / 북한 주민의 의식과 가치관의 변화
제5장 통일 문제의 구조적 이해
통일 문제의 기본 인식 / 대학생의 통일 의식 비교 / 통일 환경의 변화 이해 / 남북한의 통일 방안 비교 / 분단국의 통일 모델과 그 교훈 / 독일의 통일 과정과 교훈 / 중국과 대만의 통일 정책 / 통일을 위한 준비과제
제6장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법
통일교육의 지도 원리 / 통일교육의 접근 방식 / 토의학습을 통한 통일교육 / 사이버 공간을 이용한 통일교육 / NIE를 활용한 통일교육 / 자료 비교 분석을 통한 통일교육 / 놀이학습을 통한 통일교육 / 체험을 통한 통일교육 / 통일교육의 다양한 응용 기법
부록
통일교육지원법 / 통일교육지원법시행령 / 개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2009년 개정) / 남북공동성명 /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 / 남북공동선언 / 남북관계 발전과 평화 번영을 위한 선언(10·4 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