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시민교육론
    배한동

    20,000 원
    페이지 : 350
    I S B N : 89-7180-175-1
    출판일 : 2008-10-02

영미권에서는 시민교육(Civic Education)이란 이름으로, 독일에서는 정치교육(Politische Erziehung)이란 이름으로 실시되고 있는 시민교육은 각기 자기 나라의 환경이나 실정에 맞게 발전하면서 오늘날 그 나라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우리나라 역시 ‘건전한 민주시민 육성’을 공교육의 중요한 목표로 규정하면서 일찍부터 시민교육을 실시하여 왔다. 그러나 그간의 교육은 민주주의에 관한 지식을 주입하는 데 치중해 왔으며, 습득한 지식을 실제 행동이나 태도로 연결시키려는 노력은 빈약했다. 이 책 『민주시민교육론』은 모두 3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민주시민교육에 관한 기본 개념론’, ‘한국 사회의 시민의식론’, ‘민주시민교육의 새로운 방법’을 각각 다루고 있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민주시민교육의 새로운 방법’을 독립된 별도의 장으로 설정하여 다양한 교수·학습이론을 비중 있게 다루었다는 점을 들 수 있겠다. 지식의 전달이 아니라, 의식이나 사고의 변화를 통해 행동과 실천을 이끌어내는 문제에 깊이 천착해 온 저자는 레스트의 4 구성요소모델을 적용한 민주시민교육론으로부터 웹 기반 민주시민교육론에 이르기까지 민주시민 교육의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하였다.


배 한 동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정치학 석사
영남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정치학 박사
독일 아이히 슈로쓰 정치교육원 수료
대한정치학회 회장 역임
한국 도덕윤리과 교육학회 회장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


머리말
 

제1장 민주시민교육론의 기초
 

제1절 민주사회의 시민의식
제2절 민주사회의 시민성과 시민 자질
제3절 민주시민교육의 의의와 전개 과정
제4절 학교 교육을 통한 민주시민교육
제5절 사회교육을 통한 민주시민교육
제6절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매스컴의 과제
 

제2장 한국 사회의 시민의식론
 

제1절 한국인의 민주시민의식 국제 비교
제2절 대구·경북지역 주민의 시민의식의 제 문제
제3절 한국 대학생의 민주시민의식 분석
제4절 한·중·일 3국 대학생의 시민의식 비교
제5절 한국인의 정치의식과 정치참여 유형
제6절 시민의식 함양과 민주시민의 육성
 

제3장 민주시민교육의 새로운 방법
 

제1절 민주시민교육의 접근방법과 기법
제2절 레스트의 4 구성요소 모델을 적용한 민주시민교육
제3절 민주시민교육의 통합적 접근방법
제4절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토론식 교수·학습모형
제5절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역할놀이 교수·학습 방법
제6절 웹 기반 민주시민교육 방법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