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민사(鎭民祠)는 고려시대 태자첨사(太子詹事)를 역임하고 의성군(義城君)에 봉해진 의성김씨 시조 김용비(金龍庇) 공을 제향하기 위해 건립한 사당이다. 공이 세상을 떠난 직후 고을 사람들이 공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건립하였다고 하는데, 의성김씨 집안에서 주도하여 건립한 문중 재사(齋舍)가 아니라 지역민이 공동으로 건립한 향현사(鄕賢祠)의 일종이었다는 점에 중요한 특징이 있다.
조선 효종 연간, 의성김씨 집안에서는 진민사와 별개로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 묘소 아래쪽에 오토재(五土齋)를 건립하였다. 오토재는 의성김씨 집안에서 공의 묘사(墓祀)를 모시기 위해 건립한 문중 재사이다. 그러므로 고을 공동의 진민사와 성격이 달랐으며, 이 때문에 조선시대에는 줄곧 의성 관아 옆에 있던 진민사와 별개의 재사로 존재해 왔다.
그러다가 조선 말기에 큰 변화가 생겼다. 대원군이 서원을 훼철할 때 진민사도 훼철 대상에 포함된 것이다. 그래서 집안사람들이 진민사를 임시로 오토재 경내에 별묘(別廟) 형식으로 이건하였는데, 이후 진민사는 사실상 오토재의 일부처럼 인식되었으며, 관리와 제향 또한 주로 의성김씨 집안에서 담당하게 되었다. 그리고 진민사의 가을 추향(秋享)을 폐지하는 대신 오토재의 묘향(墓享)으로 이를 대체하는 등 구체적인 향례의 진행 일자와 절차에도 적지 않은 변화가 생겨났다.
진민사와 오토재는 이처럼 당초 별개로 존재하던 향현사와 재사가 후대에 하나로 통합 운영된 대단히 특이한 곳이다. 그리고 영남 지역의 대표적 토성(土姓) 가운데 하나인 의성김씨 집안의 시조를 모시고 있는 곳이라는 점, 관향(貫鄕)의 원류지에 변함없이 줄곧 자리를 지켜 오고 있다는 점, 설립 이래 지금까지 부단히 그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오랜 세월에 걸쳐 생산된 문서를 다른 어디에서도 보기 드물 정도로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다는 점 등 여러 면에서 특별히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이 책은 의성김씨의 유래와 진민사 사적의 문화적 가치, 군현 제의 공간 변화의 상징적 의미, 오토재 문서의 현황과 특징, 진민사의 역사문화적 가치와 의례적 성격 등을 학술적으로 검증하려는 노력의 결과이다.

김윤규(한동대학교 글로벌리더십학부 교수)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는 개화기 단형서사문학의 이해』 등 십여 종이 있고, 논문은 「최서해 문학 연구」 등 수십 편이 있다. 석주유고』, 백하일기』, 서산집』 등의 번역에 참여하였다.
김덕현(경상대학교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지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회장과 문화재청 문화재위원을 역임했다. 저서 및 역서는 장소와 장소상실(번역서), 한국의 서원문화(공저), 안동의 선비마을 열두 검제 등이 있으며, 논문은 도동서원 경관에 재현된 성리학의 정신세계 등이 있다.
황위주(경북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과 고려대학교에서 한문학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는 고문서로 읽는 영남의 미시세계 등이 있고, 논문은 조선전기 악부시 연구, 한문의 초기정착과정 등이 있으며, 재영남일기 등을 번역하였다.
김미영(한국국학진흥원 수석연구위원)
일본 도요대학교 사회학연구과에서 사회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는 도학의 길을 걷다, 유일재 김언기 종가, 학봉 김성일, 충군애민의 삶을 살다, 유교의례의 전통과 상징, 가족과 친족의 민속학 등이 있으며, 논문은 종가의 의례전통과 그 계승, 조상제례의 규범성과 실제성, 불천위 제례의 사회문화적 의미와 역할 등이 있다.

머리말
제1장 의성김씨의 유래와 오토산(五土山) 진민사(鎭民祠) 사적의 문화적 가치 _김윤규
1. 논의할 문제
2. 의성과 의성김씨의 유래
3. 오토산 진민사 사적
4. 오토산 진민사 사적의 문화적 가치
제2장 군현 제의(祭儀) 공간 변화의 상징적 의미 해석 _김덕현
-의성군 성황사와 진민사, 오토산을 중심으로-
1. 연구의 목적과 범위
2. 의성군의 지형 환경
3. 의성군 제의 공간의 변화
4. 진민사와 오토산
5. 요약과 의미 함축
제3장 오토재(五土齋) 전존문서(傳存文書)의 현황과 특징 _황위주
1. 오토재와 진민사
2. 전존문서의 일반적 현황
3. 주요 문서의 내용과 특징
4. 검토를 마치며
제4장 의성 진민사의 역사문화적 가치와 의례적 성격 _김미영
1. 사우의 성격과 특징
2. 진민사의 역사문화적 변천 과정
3. 진민사 제향의 의례적 성격
4. 지역문화유산으로서의 진민사
참고문헌
진민사 학술대회 종합토론
오토재 전존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