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사 김종덕을 한마디로 표현하라면 필자는 담백함이라고 말하고 싶다. 마치 흰 도화지에 하얀색을 칠한 것과 같다고 할까. 잘 보이지 않지만 분명 존재하는 것. 선생의 인품과 선생이 평생을 열망했던 학문이 그렇지 않았을까 한다. 세상을 도외시하진 않지만 오직 책에 파묻혀 또 다른 세상과 마주하며 자신의 주장과 논리를 구축하는, 그런 사람을 세상 사람들은 비웃지만 그 사유의 깊이와 폭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이른바 ‘간서치(看書癡)’와 같은 사람, 필자는 그런 사람이 진정한 학자라고 생각한다. 간서치와 같은 선생의 풍모는 종손을 비롯한 종가 사람들에게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으며, 이 시대 사람들의 모범이 되기에 충분하다.

추제협
계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한 뒤 계명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계명대학교 철학윤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한강『정구의 삶과 사상』(공저),『여헌 장현광의 삶과 사상』(공저) 등이 있고,「한훤당 김굉필의 도학과 퇴계학」,「성호 이익의 궁리함양공부와 퇴계학」,「이익의 사단칠정설과 성호학파의 사상적 분기」등의 논문이 있다.

축간사
지은이의 말
1. 사촌마을에 터 잡은 안동김씨
1 의성의 반촌, 사촌마을
2 안동김씨 도평의공파의 입향과 선대
3 안동김씨 도평의공파의 인물들
2. 천사 김종덕의 삶과 학문
1 서유자의 삶을 흠모하다
2 거경궁리의 학문을 이루다
3 스승 대산의 학맥을 잇다
3. 천사 김종덕의 형제와 후손들
1 사체 선생, 천사 김종덕의 형제
2 천사 김종덕의 후손들
4. 종가의 문헌과 제례
1 종가의 문헌
2 종가의 제례: 불천위 제례
5. 종가의 건축 문화
1 유자정孺子亭
2 초려草廬와 사체헌四?軒
3 부강서원鳧江書院
6. 종가의 삶과 가풍
1 종손과의 대화: 세수청백世守淸白
2 종부의 삶
3 종가의 가풍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