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설에서 꽃핀 청죽의 문화, 고령 죽연 박윤 종가
    김학수

    17,000 원
    페이지 : 219
    I S B N : 9788971805596
    출판일 : 2021-04-02

도진박씨는 강유剛柔를 겸비한 종족집단이었고, 그 특유의 유연성으로 패러다임의 변전을 시도했다. 그것은 무武에서 문文으로의 이행을 의미했고, 그 중심에 죽연竹淵 박윤朴潤이 있었다. 그는 예禮와 학學의 기풍을 일문에 주입시켰고, 당대의 석학 산해山海 선생이 죽연정竹淵亭에 올라 도의道義를 강마하고 산천의 아름다움을 노래하였을 때 도진은 문향만동文香滿洞의 선비 마을이 되었다. … 남명학이 도진마을의 문화文華를 촉진하였다면 한강학寒岡學은 이곳에 도학과 예학의 기풍을 심었으며, 내암학來菴學은 남명학의 본령이 경의敬義에 있음을 가르쳤다. 한강학이 있었기에 박씨의 학문은 거칠지 않았고, 또 내암학이 있었기에 그 마을은 문약文弱의 병폐로부터 강한 내성을 키울 수 있었다. 양죽養竹의 고절高節과 학암鶴巖의 순학醇學은 이런 인문환경이 양성한 두 가지 모습이었다.


김학수金鶴洙
경상북도 영천에서 태어나 인하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한국사학전공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로 조선시대 지식문화사에 대하여 공부하고 있다. 저서로는 『끝내 세상에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허주 이종악의 삶과 풍류』, 『구미 구암 김취문 종가』, 『김천 정양공 이숙기 종가』, 『조선을 이끈 명문가 지도』(공저), 『조선사회 이렇게 본다』(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제주지역 유교 지식(知識)·문화(文化)의 수용 양상과 ‘제주학풍(濟州學風)’」, 「17세기 영남학파 연구」, 「조선중기 한강학파의 등장과 전개」,「존주론의 작동과 정치이념적 家의 출현」, 「鄭經世·李埈의 穌齋觀」 등 다수가 있다.


축간사
지은이의 말

1 입지조건과 형성과정
1 도진桃津의 자연 및 인문 환경: 무릉도원武陵桃源의 의취를 품은 사대부의 가거지可居地
2 고령 입향과 ‘도진전거桃津奠居’: 본향회귀本鄕回歸의 의로운 걸음

2 종가의 역사: 종손의 계보와 그 도도한 삶의 자취
1 양산공梁山公 박계조朴繼祖: 죽연가의 기틀을 닦은 기가조起家祖
2 죽연竹淵 박윤朴潤과 그 형제들: 도진사룡桃津四龍의 훈지상화壎篪相和
3 박정벽朴廷璧: 순효純孝로 빚고 청수淸秀함으로 다듬은 선비
4 도원桃源 박원갑朴元甲: 충효겸전忠孝兼全의 선량학인善良學人
5 남애南厓 박종윤朴宗胤: 남명학南冥學의 관료적 실천
6 박서전朴瑞全과 그 이후의 죽연종손竹淵宗孫들: 충효를 상전했던 죽연가의 의자손宜子孫

3 도진마을의 인간과 공간
1 도진마을의 준재들: ‘도진호련桃津瑚璉’
2 강거문화江居文化와 도진: 낙강洛江에서 이룬 자연과 인간의 합일
3 도진혈맥桃津血脈: 이채로운 혼맥과 인적 네트워크
4 삼강三綱의 실천공간으로서의 도진: 충효마을의 역사적 근거
5 조양동朝陽洞 사람들: 합천에서 꽃피운 학암여운鶴巖餘韻

4 유교문화 경관 및 문헌
1 학문・저술・교유 그리고 기림의 공간
2 고문헌을 통해 본 도진박씨의 자의식自意識

5 도진마을의 오늘과 내일
1 도진마을의 오늘: 기억해야 할 사람들
2 도진마을의 내일: 미래를 위한 설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