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달성의 문화 경산에서 꽃피우다, 경산 동고 서사선 종가
    김충희

    17,000 원
    페이지 : 174
    I S B N : 9788971805862
    출판일 : 2022-06-07

이 책은 경산에 정착한 지 400년이 넘는 동고 서사선 종가를 살펴본 것이다. 동고 서사선은 임진왜란이 끝나고 점차 안정을 찾아 가던 시기인 1604년에 처가가 있던 경산에 집을 짓고 정착하였다. 그 후 400여 년의 시간이 흐르면서 경산에는 그의 후손들이 크게 불어나 달성서씨는 경산에서 가장 번성한 성씨 중의 하나가 되었다.

동고 서사선은 경산에 정착한 이후에도 대구 지역의 선비들과 교유를 이어 갔다. 대구 지역에 사는 선비들이 경산에 사는 동고를 찾아오기도 하였다. 대구부사가 찾아오기도 하였고, 경상도관찰사가 동고의 집을 방문하기도 하였다. 동고는 대구에서 성장하였지만 경산에 정착하여 이름난 선비로서의 위상을 이룩하였다.
동고의 후손들은 동고가 이룬 명문가의 위상을 잘 계승하였다. 경산 지역의 역사를 기록한 책인 『장산지』를 보면 훌륭한 행적을 이룬 동고의 후손이 여러 사람 등재되어 있다.


김충희
金忠熙

 
경상북도 칠곡에서 태어나, 영남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 동 대학원 한문학과에 진학하여 석사학위를 받았고, 경북대학교 대학원 한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전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로 조선 시대 문인들의 한시에 대하여 공부하고 있다. 저서로는 『해동의 대선사 인악대사』, 『금호강 선유 및 누정문학』(공저), 『대구지역 서원의 현황과 활용방안』(공저), 『호남지역 퇴계학맥의 전개』(공저)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국역 도운유고』, 『봉산재시집』(공역)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회재 이언적의 시문학 연구」, 「익재 고문의 연구」, 「신라 진평왕 대의 태평송에 대한 재검토」, 「미발간자료 『회재선생속집』 소재 한시의 분류양상과 시사적 의의」, 「『소유정제영록』을 통해서 본 금호강 강안문학」 등 다수가 있다.


축간사

지은이의 말

1 종가의 입지 조건과 형성 과정
1 인문지리적 환경
2 입향조의 입향 유래
3 종가의 형성 과정
 
2 동고 서사선의 삶과 경산에 남겨진 동고의 자취
1 동고의 생애와 학문
2 경산에 남겨진 동고의 자취
 
3 종가의 역사
1 종가 계승 인물
2 종가의 건물
3 종가의 문헌

4 종가의 제례
1 동고종가의 여러 제례
2 불천위 제례

5 종가의 가풍
1 종친회
2 지역 유림들과의 소통
3 종손의 삶과 포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