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와룡에서 품은 큰 뜻, 안동 백담 구봉령 종가
    최은주

    17,000 원
    페이지 : 175
    I S B N : 9788971805848
    출판일 : 2022-06-07

시대가 변하면서 종가에도 많은 것들이 변하였다. 비어 있는 종택도 있고, 오늘날의 현실에 맞추어 여러 의식들을 바꾸기도 한다. 그러면서도 변하지 않는 것은 바로 대대로 내려온 정신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안동의 백담 구봉령 종가는 오늘날 우리가 종가문화를 조사·연구해야 하는 이유를 잘 보여 주는 종가이다. 어쩔 수 없는 변화 속에서도 예부터 내려온 전통을 지켜 가고자 노력하는 모습이 담겨 있다. 종가문화는 유형적 자산으로만 전승되는 것은 아니다. 고려 말 구홍의 절의 정신은 조선조의 구봉령에게 이르러 출처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과 그 속에서의 충절로 이어졌다. 시대적 격변에 따라 백담종가 역시 부침을 겪었지만, 몇백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 정신은 종가의 구성원들에게 이어져 오고 있다. 이러한 정신은 앞으로도 계속 이어져 갈 것이다.


최은주
崔慇珠


대구에서 태어나 계명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한 후,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연구원, 경북대학교 시간강사를 거쳐 현재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고전문학을 전공하여 주로 문학작품이 생성된 공간과 그 공간에서 향유된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한국고전문학과 문화어문학』(공저), 『낙동강과 문화어문학』(공저) 등의 저서와 「慕堂 孫處訥의 시에 나타난 교유와 그 의미」, 「大菴 朴惺의 사물인식방법과 의식지향」, 「근대전환기 향촌 지식인의 문학적 교유와 그 의미」 등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축간사

지은이의 말
 
1 백담종가의 형성과 역사
1 인문지리적 환경
2 능성구씨와 백담종가의 계보
 
2 삼대의 인물·양한의 문장, 백담 구봉령
1 구봉령의 생애와 학문
2 구봉령의 문학 세계
3 구봉령이 교유한 인물들
 
3 백담종가의 유물과 유교문화 경관
1 문헌과 유물
2 동강서당과 주계서원
3 사당
4 기타
 
4 백담종가의 제례
1 백담종가의 제례문화
2 불천위 제례
 
5 백담종가의 현재와 미래
1 종손·종부로 살아가기
2 가풍을 계승하여 미래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