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쓰기치료 - 이론과 실제
    채연숙

    16,000 원
    페이지 : 165
    I S B N : 978-89-7180-329-5
    출판일 : 2011-10-05

글쓰기는 자신에 대한 기록이자 자가 분석적 과정이다. 모든 글은 그 자체로 문제에 대한 생각과 반성, 자기 성찰을 담게 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글쓰기는 정제된 자신의 생각이 어떤 여과도 없이 그려지는 내면의 밑그림이자 몸의 일기이며, 누구든지 일기나 메모 등의 지속적인 글쓰기를 통해 자가 치유적 활력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출발하여 ‘글쓰기치료’의 이론과 실제 적용 방법들을 다루고 있는 이 책은 <글쓰기치료의 역사>, <글쓰기치료의 원리>, <글쓰기치료의 매체>, <글쓰기치료의 실제>의 4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통합문학치료학의 관점에서 접근한 각 장 내용들을 통해 글쓰기치료의 이론과 실제가 보다 분명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문학치료를 포함한 인문 치유영역, 상담영역, 심리치료 영역 그리고 정신 의학적 치료 영역 등 다양한 학문과의 소통을 시도하고 있어 그동안 순수 인문학이라고만 여겨졌던 글쓰기를 응용 인문학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다.


채 연 숙

독일 FPI 문학치료트레이너, 독일문학치료학회 회원,
독일 연극 & 드라마치료 회원, 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 문학박사,
현 경북대학교 유럽어교육학부 독어교육전공 교수
 

저서
『크리스티네 부스타의 시세계』(1992), 서정의 침몰』(1998)
 

역서
『독일 서정시 입문-창작, 이해, 그리고 수용』(1999), 『기억의 공간』(2003, 공역)
『문학은 아직도 고혹한 피의 작업』(2004, 공역), 『제국의 종말 지성의 탄생』(2008, 공역)
 

논문
「문학과 영화 속의 불안장애」 외 문학치료와 현대사회의 정신병리 관련 논문 다수


chapterⅠ 글쓰기치료의 역사
글쓰기치료의 역사 / 글쓰기치료의 정의 / 글쓰기치료의 이론적 배경 / 글쓰기치료의 종류
 

chapterⅡ 글쓰기치료의 원리
글쓰기치료의 방어기제 및 저항 / 글쓰기치료의 본질 / 글쓰기치료의 기술 / 글쓰기치료의 대상 / 글쓰기치료에서 치료사의 역할 / 글쓰기치료와 글쓰기 정서
 

chapterⅢ 글쓰기치료의 매체
공간Loci / 문자Letter / 소리Sonare / 몸Leib / 그림Performare
 

chapterⅣ 글쓰기치료의 실제
글쓰기치료의 과정과 방법 / 치료로서의 글쓰기 / 글쓰기치료의 실제 / 글쓰기치료의 사례:문학과 영화 속의 글쓰기치료 / 글쓰기치료의 효능 / 글쓰기치료 활성화 기술 / 글쓰기치료에서 웜업의 목적 / 글쓰기치료의 치유적 글감과 글의 종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