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감성능력이 개인의 사회화에 중요 요소로 평가되면서 독서의 감정・정서 고양 기능 또한 주목받고 있다. 이 책은 독서와 감성능력의 상관관계, 독서를 통한 감성 촉진 방법을 다룬다. 이를 위해 먼저 감정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독서를 통한 감정이해, 감정조절, 감정코칭을 논함으로써 감성독서의 범주와 가능성을 구체화한다(제1장~제2장). 이어 내포독자, 여백, 플롯과 발문의 상호관계를 통해 감성독서 텍스트를 고르는 방법을 알아보고 독서행위 과정을 통해 고양된 감정을 조절하기 위한 촉진자의 개입 방식을 다룬다(제3장~제4장). 이러한 이론적 바탕 위에 제5장~제6장에서는 구체적인 감성독서 훈련과정을 설명하고 사용 가능한 텍스트를 분류・제시한다. 마지막 제7장에서는 지식 습득과 정서 고양이라는 독서의 서로 다른 효용성을 논하면서 감성독서의 중요성을 일깨운다. 이 책을 통해 문학 및 상담 분야 양쪽에서 관점의 전환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변 학 수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독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독일 슈투트가르트 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철학석사,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 사범대학 독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연구재단 전문위원이다. 한국통합문학치료학회 회장, 한국아데나워학술교류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문학평론가, 문학치료사 슈퍼바이저(프리츠 펄스 연구소)이기도 하다.
저서로는 『프로이트 프리즘』(책세상, 2004), 『통합적 문학치료』(학지사, 2006), 『문학치료』(학지사, 2007), 『내면의 수사학』(경북대학교출판부, 2008), 『문학적 기억의 탄생』(열린책들, 2008)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제국의 종말 지성의 탄생』(글항아리, 2008), 『이집트인 모세』(그린비, 2010), 『기억의 공간』(그린비, 2011), 『독일문학은 없다』(열린책들, 2004), 『시와 인식』(문학과지성사, 1992) 등이 있다.

제1장 감정
1. 감정이란 무엇인가? / 2. 감정에 대한 언어철학적 설명 / 3. 감정의 배경-욕구(Needs) / 4. 감정의 배경-감각
제2장 조절
1. 문학 속의 감정과 조절 / 2. 감정불능 / 3. 감정조절 / 4. 감정코칭
제3장 독서
1. 독서의 현장 / 2. 내포독자와 독서행위 / 3. 여백의 이해 / 4. 플롯과 발문
제4장 촉진
1. 촉진과 촉진자 / 2. 독자와 텍스트의 관계 / 3. 촉진을 위한 웜업 / 4. 촉진의 과정
제5장 훈련
1. 감정: 『프레드릭』 / 2. 상상: 『내 친구 커트니』 / 3. 공감: 『돼지책』 / 4. 협동: 『로쿠베, 조금만 기다려』 / 5. 감각: 『느끼는 대로』 / 6. 생존: 『로베르토』 / 7. 분노: 「어느 남자에 대한 발라드」 / 8. 욕구: 『마담 보바리』 / 9. 수치: 「Ex. 2) 아래 시는 () 속에 여러분의 취향에 맞는 낱말을 넣어 새로 쓸 수 있습니다.」 / 10. 일상: Mc 스나이퍼의 랩(RAP)
제6장 텍스트
1. 텍스트의 선택 기준 / 2. 감성독서를 위한 그림책 / 3. 감성독서를 위한 청소년 문학 / 4. 감성독서를 위한 소설·시 텍스트
제7장 발견
1. 어디서 책을 읽을까 / 2. 독서는 경계를 넘는 일 / 3. 책, 그리고 책 읽어주는 사람 / 4. 한 장 넘기고, 한 번 숨 쉬고, 한 번 읽고 / 5. 삐딱하게, 은밀하게 / 6. 그것을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으로 존재하는 것 / 7. 사랑에 빠지듯이 / 8. 눈앞에 그림을 그려라 / 9. 그림책으로 퇴행(退行)을 즐겨라 / 10. 치유는 조야함과 야만성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