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학 텍스트를 생성한 르네상스라는 특별한 역사적 환경 속에서 젠더와 권력 그리고 이를 둘러싼 욕망의 문제를 다루는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면서 던의 작품을 조명한다. 던의 텍스트는 그의 배교를 어떻게 드러내고 있으며, 배교에 얽힌 종교적인 신앙과 정치적 야망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던의 작품은 그의 여성 혐오적 경향을 드러내고 있는가? 그리고 그의 젠더에 관한 생각은 어떠한가? 던의 글쓰기는 정치적으로 전제주의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고 있는가? 그렇다면 이는 권력과 어떤 관계성을 보여주는가? 그리고 이는 그의 정치적 야망의 표현으로 읽을 수 있는가?『존 던의 시와 산문』은 이러한 존 던에 대한 핵심적인 비평 이슈들을 다루면서 최근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다양하고 폭넓은 연구 성과를 반영하고 점검하고 있다.

최재헌
경북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동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미국 오리건 주립대학 및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 교환교수
한국밀턴과근세영문학회 회장 역임
현 경북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주요 저서 및 논문
『다시 읽는 존 밀턴의 실낙원』(2004년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르네상스 시대 영국시의 이해』
『밀턴의 이해』(공저)
『영미시 오디세이』
『포스트모던 시대의 영미시』(공저)
『존 밀턴의 생애와 사상』
『존 던의 초기시 연구』(2013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다시 읽는 존 던』
『중기 밀턴: 존 밀턴의 산문』
「존 밀턴의 『이혼론』에 나타난 기독교인의 자유와 젠더 문제」 외 다수

책머리에
제1장 젠더
세태에 대한 풍자와 기지: 경구시와 『풍자시』
여성의 몸과 성 역할: 『엘레지』
여성의 목소리와 레즈비언의 사랑: 「사포가 필레니스에게」
여성과 사랑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그 재현: 『노래와 소네트』
제2장 권력
영국 사회와 궁정과 법조계에 대한 풍자: 『풍자시』
가부장적 권력과 식민주의: 『엘레지』
종교적 자유와 정치 권력: 『가짜 순교자』와 「풍자시 3」
제3장 욕망
자살과 죽음에 대한 욕망: 『자살론』과 『노래와 소네트』
사랑에 대한 욕망과 성의 정치학: 『노래와 소네트』
종교적 갈등과 거룩한 욕망: 종교시와 산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