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재집 5
    정종로

    30,000 원
    페이지 : 396
    I S B N : 9788971804704
    출판일 : 2017-12-31

이 책은 입재(立齋) 정종로(鄭宗魯)의 문집중 권16에서 20까지를 번역한 것이다. 정종로(1738~1816)는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사앙(士仰), 호는 입재이다.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6대손으로 외가 함창(咸昌 : 지금의 문경군 영순면) 태어나 상주 우산(愚山)에서 살았다. 그는 가학을 전수받는 한편 당시 영중삼로(嶺中三老)로 불리던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남야(南野) 박손경(朴遜慶), 백불암(百弗菴) 최흥원(崔興遠)의 문하에 나아가 학문하였다. 그 중에 특히 이상정에게 배운 호문삼종(湖門三宗 : 鄭宗魯, 李宗洙, 金宗德)에 속하는 사람으로, 영남학파의 퇴계학통을 잇는데 중추적 역할을 하였다. 문집 권16~20까지는 모두 편지이다. 76통으로 제자인 남한호(南漢皜), 유식(柳栻), 이승배(李升培), 정원선(鄭元善) 등에게 보낸 것이다. 내용은 일상적인 안부인사에서부터 당시 학문의 주요 쟁점이었던 성리학, 예학, 경학 등을 대하여 광범위하게 논의한 것과 그리고 문인 제자들에게 학문에 정진할 것을 구구절절하게 당부하는 말들이다. 편지를 통하여 학문의 토론장으로 삼았다 이를만하다. 따라서 이 편지들을 통해 당시 유학자들의 학문적 자세와 사우들간의 정의(情誼)를 느낄 수 있다.


지은이

정종로(鄭宗魯)
1738(영조14)~1816(순조16).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사앙(士仰), 호는 입재(立齋)ㆍ무적옹(無適翁)이다.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의 6대손으로 경상도 함창(咸昌)의 외가에서 태어났다. 그는 6대 조부 정경세, 고조부 무첨재(無忝齋) 정도응(鄭道應), 숙부 창주(滄洲) 정의모(鄭義模)에게 가학을 전수받았으며 중년에 영중삼로(嶺中三老)로 불리던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남야(南野) 박손경(朴遜慶), 백불암(百弗菴) 최흥원(崔興遠)의 문하에 나아가 영남학파의 학통을 계승하였다. 그 중에 특히 대산 이상정에게 학문을 배운 호문삼종(湖門三宗:鄭宗魯, 李宗洙, 金宗德)에 속하는 사람으로, 영남학파의 퇴계학통을 잇는데 중추적 역할을 하였다. 관직에 뜻이 없어 학문에만 매진하다가 만년에 천거로 광릉참봉(光陵參奉)ㆍ의금부도사ㆍ사포서별제(司圃署別提)ㆍ강령현감ㆍ함창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이후 벼슬에서 물러나 향리에 내려와 성리학의 연구와 후학양성 및 저술에 힘썼다. 이에 그는 유심춘(柳尋春), 이승배(李升培), 강세규(姜世奎), 황반로(黃磻老), 이경유(李敬儒), 유태좌(柳台佐), 송규필(宋奎弼), 이원조(李源祚), 강엄(康儼) 등 248명에 달하는 영남의 유수한 학자를 배출하였다. 그는 또 상주(尙州) 지역에서 일정한 학맥을 세웠는데, 6대조 우복에서 내려오는 학맥을 받은 그는 서애의 7대손 강고(江皐) 유심춘에게 이어주었고 유심춘은 다시 그의 아들 낙파(洛坡) 유후조(柳厚祚)와 그의 손자 계당(溪堂) 유주목(柳疇睦)에게 이어주었다. 이처럼 상주에서 비중있는 유학자들이 번성했던 시기를 상주지역 학문의 융성기라 할 수 있는데, 입재는 그 학문 융성기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는 사후에 우산서원(愚山書院)에 위패가 배향되었다. 이처럼 입재는 당대에 명망있는 학자로 인정받아 영남학파, 그중에서도 퇴계학통의 중심적인 위치에 서있으며, 특히 상주지역의 학문 융성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저서로는 《입재집(立齋集)》이 있다.


옮긴이

송희준(宋熹準)
1958년 대구시 달성에서 태어났다. 경북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문학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계명대학교 한학촌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권역별거점연구소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역서로는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권11~권20(공역)이 있고, 편저로는 《심경주해총편(心經註解叢編)》10권과 《근사록주해총편(近思錄註解叢編)》10권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조선의 마지막 문장》이 있다.
 


일러두기


입재집 제16권
서書
남자호에게 답하다 무술년(1778, 정조2) 答南子皜 戊戌
남자호에게 답하다 기해년(1779, 정조3) 答南子皜 己亥
남자호에게 답하다 경자년(1780, 정조4) 答南子皜 庚子
남자호의 별지에 답하다 임인년(1782, 정조6) 答南子皜別紙 壬寅
남자호에게 답하다 答南子皜
남자호에게 답하다 을사년(1785, 정조9) 答南子皜 乙巳
남자호에게 주다 경술년(1790, 정조14) 與南子皜 庚戌
남자호에게 답하다 答南子皜
남자호에게 주다 與南子皜
남자호에게 답하다 答南子皜
남자호에게 답하다 을묘년(1795, 정조19) 答南子皜 乙卯
남자호에게 주다 병진년(1796, 정조20) 與南子皜 丙辰
남자호에게 답하다 答南子皜
유경보와 남자호에게 답하다 무오년(1798, 정조22) 答柳敬甫南子皜 戊午
남자호에게 답하다 答南子皜
유경보와 남자호에게 주다 기미년(1799, 정조23) 與柳敬甫南子皜 己未
유경보와 남자호에게 답하다 答柳敬甫南子皜
남자호에게 답하다 答南子皜
남자호에게 주다 與南子皜
남자호에게 답하다 신유년(1801, 순조1) 答南子皜 辛酉
유경보와 남자호에게 주다 임술년(1802, 순조2) 與柳敬甫南子皜 壬戌
유경보와 남자호에게 답하다 答柳敬甫南子皜
남자호의 별지에 답하다 答南子皜別紙
남자호에게 주다 기사년(1809년, 순조9) 與南子皜 己巳
남자호의 별지에 답하다 임신년(1812, 순조12) 答南子皜別紙 壬申
남자호의 별지에 답하다 계유년(1813년 순조13) 答南子皜別紙 癸酉
남원대 한보 에게 주다 ○ 무오년(1798, 정조22) 與南元大 漢普○戊午
남원대에게 답하다 答南元大
남원례 한모 에게 답하다 答南元禮 漢模
권주탁에게 답하다 答權周琢
권주탁에게 답하다 答權周琢


입재집 제17권
서書
유경보에게 답하다 신해년(1791, 정조15) 答柳敬甫 辛亥
유경보에게 답하다 임자년(1792, 정조16) 答柳敬甫 壬子
유경보의 별지에 답하다 答柳敬甫別紙
유경보에게 주다 與柳敬甫
유경보에게 답하다 答柳敬甫
유경보와 남자호에게 주다 與柳敬甫南子皜
유경보에게 주다 與柳敬甫
유경보에게 주다 與柳敬甫
유경보에게 답하다 答柳敬甫
유경보에게 답하다 答柳敬甫
유경보에게 답하다 答柳敬甫
유경보에게 답하다 答柳敬甫
유경보의 별지에 답하다 答柳敬甫別紙
강사언 엄 의 서전 문목에 답하다 答康思彥 儼 書傳問目
강사언의 태극의의 문목에 답하다 答康思彥太極疑義問目


입재집 제18권
서書
이대언에게 답하다 무신년(1788, 정조12) 答李大彥 戊申
이대언에게 주다 기미년(1799, 정조23) 與李大彥 己未
이대언의 문목에 답하다 答李大彥問目
이대언에게 주다 與李大彥
이대언에게 주다 與李大彥
이대언의 문목에 답하다 答李大彥問目
이대언에게 답하다 答李大彥
이여강 계양 에게 답하다 答李汝剛 啓陽
이여강에게 답하다 答李汝剛
이여강에게 답하다 答李汝剛
이이공 규진 과 이덕원 형진 에게 답하다 答李而拱 奎鎭 德元 亨鎭
이이공에게 답하다 答李而拱
권사원 달근 에게 답하다 答權思遠 達近
권사원에게 주다 與權思遠
송암 산장에게 주다 신유년(1801, 순조1) 與松巖山長辛酉
진주 덕천서원 유사에게 주다 與晉州德川書院有司
거창 용산재사 유생들의 문목에 답하다 答居昌龍山齋舍儒生問目
나주 미천서원 유생에게 답하다 答羅州眉泉書院儒生
도남서원 재석에게 주다 與道南齋席
김순수 희분 의 문목에 답하다 答金舜叟 煕奮 問目
이계순의 문목에 답하다 答李啓淳問目
박경후 상중 의 문목에 답하다 答朴景厚 尙重 問目


입재집 제19권
서書
이성응 정 에게 답하다 경신년(1800, 정조24) 答李聖應 ○ㆍ庚申
이성응에게 답하다 ○ 기사년(1809, 순조9) 答李聖應 ○ 己巳
이성응에게 답하다 答李聖應
이성응의 마음의 이와 기의 변론에 답하다 答李聖應心理氣辨
이성응의 《역학계몽》의 문목에 답하다 答李聖應啓蒙問目
김제언 양정 에게 답하다 ○ 갑술년(1814, 순조14) 答金濟彥養楨 ○ 甲戌


입재집 제20권
서書
정희인에게 답하다 정사년(1797, 정조21) 答鄭希仁 丁巳
정희인에게 답하다 答鄭希仁
정희인에게 답하다 ○ 무오년(1798, 정조22) 答鄭希仁 ○戊午
정희인에게 답하다 ○ 신유년(1801년, 순조1) 答鄭希仁  ○辛酉
정희인에게 답하다 答鄭希仁
정희인에게 답하다 答鄭希仁
정희인에게 답하다 계해년(1803, 순조3) 答鄭希仁 癸亥
강백현에게 답하다 신유년(1801, 순조1) 答姜伯玄 辛酉
강백현에게 답하다 答姜伯玄
강백현의 문목에 답하다 答姜伯玄問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