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감표점 목재집
    홍여하

    30,000 원
    페이지 : 588
    I S B N : 9788971805084
    출판일 : 2018-12-31

이 책은 목재(木齋) 홍여하(洪汝河, 1620-1674)의 문집 전체에 해당하는 한문 원문에 대한 교감 표점본이다. 12권 6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권1과 권2는 시(詩), 권3은 소(疏), 권4는 서(書), 권5와 권6은 설(說), 책제(策題), 서(序), 기(記), 발(跋), 잠(箴), 명(銘), 송(頌), 찬(贊), 상량문(上樑文), 권7과 권8은 제문(祭文), 갈명(碣銘), 행장(行狀), 권9는 독서기(讀書記)와 잡저(雜著), 권10은 역사서에 대한 범례(凡例) 및 지(誌)ㆍ전(傳)ㆍ세가(世家) 등에 실린 총론(總論), 권11과 권12는 부록(附錄)에 해당한다. 홍여하는 본관은 부계(缶溪), 자는 백원(百源), 호는 목재(木齋)·산택재(山澤齋)이다.


지은이
홍여하(洪汝河)
1620(광해군12)∼1674(숙종1). 영남의 유학자로 자는 백원(百源), 호는 목재ㆍ산택재(山澤齋), 본관은 부림(缶林)이다. 홍귀달(洪貴達)의 5대손으로, 35세에 대과에 급제하여 검열(檢閱)ㆍ봉교(奉敎)ㆍ장령(掌令)ㆍ감찰(監察) 등의 관직을 역임했다. 39세 되던 해에 올린 상소가 송시열(宋時烈)을 비방했다는 모함을 받아 함경도 영변 판관(寧邊判官)으로 좌천되고, 이듬해에 충청도 황간(黃澗)으로 유배되었다. 그 무렵 효종의 죽음으로 해배(解配)된 이후 관직을 버리고 고향 율리로 돌아와 저술과 강학활동에 매진하였다. 저서로는 《목재집(木齋集)》 12권을 비롯하여 《휘찬여사(彙纂麗史)》, 《동사제강(東史提綱)》 등을 남겼다.

교감표점
송희준(宋熹準)

1958년 大邱 達城에서 태어났다. 경북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문학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계명대학교 한학촌 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韓國古典飜譯院 圈域別據點硏究所 慶北大學校 嶺南文化硏究院 責任硏究員으로 재직하고 있다. 역서로는 《사미헌집》권1∼권3, 《대동운부군옥》권11∼권20(공역)이 있고, 편저로는 《心經註解叢編》10권과 《近思錄註解叢編》10권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조선의 마지막 문장》이 있다.

김숭호(金崇浩)
1969년 大邱의 俗稱 갓바위에서 태어났다. 漢文學專攻으로 博士學位를 받았다. 現在 韓國古典飜譯院 圈域別據點硏究所 慶北大學校 嶺南文化硏究院 硏究員으로 在職하고 있다. 漢文 工夫 모임인 周德會 會員이다. 譯書로 《전쟁은 속임수다》, 《朱子大全》(共譯), 《木齋集3》(共譯), 《九思堂集3》(共譯) 等과 編書로 《草訣歌・草千字》가 있다.


木齋集 卷一


木齋集 卷二


木齋集 卷三


木齋集 卷四


木齋集 卷五



記事
議辨



策題


木齋集 卷六






上樑文

木齋集 卷七
祭文
碣銘

木齋集 卷八
行狀

木齋集 卷九
讀書箚記
雜著

木齋集 卷十
雜著

木齋集 卷十一
附錄

木齋集 卷十二
附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