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통의 구성적 역동성과 러시아 언어-문화 공간의 다차원성
    이기웅 외

    20,000 원
    페이지 : 520
    I S B N : 978-89-7180-293-9
    출판일 : 2010-07-20

‘소통’은 일상 담론에서 자주 거론되는 낱말이나, 여전히 정보의 일방향적인 흐름으로 간주되고 있는 경향이 있다. 이 책은 이러한 한계점에 착안하여 언어적 소통의 본질적 특성이 주체사이성(intersubjectivity)을 토대로 화자와 청자 사이에서 쌍방향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적 역동성에 있음을, 그리고 본원적으로 주체사이적 행위인 소통 행위의 최종 목표가 공통적인 것의 정립뿐만 아니라 새로운 공통적인 것의 생성에 있음을 밝힌 것이다.
이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소통의 역동성을 구성하는 필수적인 계기, 주체사이성의 언어 내적 공간, 러시아 언어-문화 공간에서 소통적 주체사이성, 러시아 언어-문화 공간에서의 소통 문제를 다루고 있다. 언어적 소통에 대한 모형화 및 종합적 성찰이 매우 절실한 시점에서 기존의 학문적 성과를 바탕으로 한 학제간 연구결과라 할 수 있는 이 책은 언어적 소통의 개별적 양상들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진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제1부 소통의 역동성
 

제1장 언어적 소통의 일반모형
제2장 소통과 화용적 계기들
제3장 텍스트화: 언어-문화 공간의 구성과 재구성
제4장 주체사이성과 소통의 윤리학
 

제2부 러시아 언어-문화 공간에서 소통의 언어적 양상
 

제5장 직시(deixis)와 관찰자의 형상: 문법론적 vs. 서사론적 함의
제6장 간접화행과 러시아어 구조 - 요청화행을 중심으로
제7장 러시아어 텍스트 - 문화적 관용구의 구성과 재구성
제8장 소통, 번역, 파토스
제9장 고대 러시아 부흥기 문학에서의 전통과 모방 - 키예프 러시아 문학에 대한 모방을 중심으로
 

제3부 러시아 언어-문화 공간에서 소통적 주체사이성
 

제10장 러시아어 직시연구 - 기호적 속성을 중심으로
제11장 대화적 채널과 소통의 다차원성: 고대 러시아의 교회설교문학을 중심으로
제12장 시적 소통의 특수성에 대하여: 예술언어의 유연성과 대화적 성격을 중심으로
제13장 문학 텍스트화와 언어-문화 공간의 토포스: 러시아어 “프라브다” 토포스를 중심으로
제14장 문화적 선행코드의 탈코드화와 재코드화 - 도스토예프스키의 <백치>와 고딕 코드
제15장 소통의 경계와 새로운 서사의 모색 - M. 고리키의 <어떤 소설>
 

제4부 러시아 언어-문화 공간에서 소통의 안과 밖
 

제16장 공손함을 위한 소통의 완화장치
제17장 권력관계에 의한 소통의 비소통화: 톨스토이의 <이반 일리치의 죽음>의 내러티브 분석
제18장 러시아 언어-문화 공간에서 언어 변화와 소통 -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어휘 변화를 중심으로
제19장 문학 속의 성과 소통: 톨스토이와 도스토예프스키
제20장 이념적 소통의 단절과 그 극복을 위한 성찰 - M. 고리키의 혁명 후 단편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