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살아있는 생활한자
    강민구

    20,000 원
    페이지 : 238
    I S B N : 9788971805275
    출판일 : 2019-08-30

본래 우리나라에서는 한자 교육이 따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중세에는 말할 것도 없거니와 근대 교과과정이 확립된 이후에도 ‘한자’를 표방한 교과목은 존재하지 않았다. 비록 부분적으로 한자를 익힐 경우에도 한문 독해를 전제로 한 것이었지, 최종 목표를 ‘한자의 사용’으로 한정하지는 않았다. 한자는 도구적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한자어의 학습은 다른 교과를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도와줄 뿐만 아니라 한자어로 된 전문 용어를 쉽고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은 현실적 이유에 기인하여 한자어 학습에 대한 요구는 날로 높아졌으며 그것이 한문 학습을 압도한 지 이미 오래되었다. 한문은 장기간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학습이 필요하지만 한자는 그렇지 않다. 그렇다고 해서 한자 학습이 그리 만만한 것도 아니다. 두 자 이상의 한자가 결합되면 그것들 사이에 문법이 개입되고,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한자의 뜻이 한자어 속에서 다양하게 변화하기 때문이다. 한자어 학습은 최소한 이 두 가지에 대한 이해에 기반해야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따라서 이 책은 한자어에 사용된 한자의 정확한 의미를 제시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여기에는 문법적인 요소가 반영되어 있다. 문법을 별도로 제시하면 좋겠지만 학습자들이 문법을 어려워하기 때문에 드러내 놓지는 않았다. 이 책은 한자 학습에 국한하지 않고 한자 문화의 깊이와 재미를 전해 주기 위해 노력하였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한자 학습을 넘어 한자 문화의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姜玟求(강민구)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한문학과에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硏靑(연청) 吳大泳(오대영) 선생에게 사사하였다. 파리 13대학 초빙 교수를 지냈으며 현재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한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와 역서로 『조선 후기 문학 비평의 이론』과 『교감 국역 송남잡지』 외 다수가 있다.


[본책]
서문
특징과 구성
들어가며
제1장 家庭(가정)에서
제2장 學校(학교)에서
제3장 會社(회사)에서
제4장 月曆(월력)에서
제5장 氣象廳(기상청)에서
제6장 銀行(은행)에서
제7장 法院(법원)에서
제8장 國會(국회)에서
제9장 區廳(구청)에서
제10장 福德房(복덕방)에서
제11장 病院(병원)에서
제12장 韓醫院(한의원)에서
제13장 藥局(약국)에서
제14장 商店(상점)에서
제15장 食堂(식당)에서
제16장 汽車驛(기차역)에서
제17장 空港(공항)에서
제18장 旅路(여로)에서
제19장 道路(도로)에서
제20장 公演場(공연장)에서
제21장 放放局(방송국)에서
제22장 遺蹟地(유적지)에서
제23장 競技場(경기장)에서
제24장 式場(식장)에서

참고문헌
전체 구성 일람표
부수 일람표


[부록]

한자 쓰는 법
한자쓰기
연습 문제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