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삶 전반에 컴퓨터와 자동화 시스템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짐에 따라 디지털 정보기술과 예술을 융합하려는 시도 또한 빈번해지고 있지만, 수요에 비해 연구 성과가 부족해 순조로운 발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이 책은 흔히 ‘순수 예술’과 대응하여 사용하는 디지털 아트라는 용어를 내세워, 이 분야가 무엇이며 디지털 정보기술과 예술이 어떻게 융합하는지 다룬 연구서이다. 디지털 정보기술의 기초부터 미술, 음악은 물론 사진, 공연, 영화 등의 기본적 개념 속에 디지털 기술이 적용되는 방법을 광범하게 상술한다. 오늘날 디지털 기술과 아트, 콘텐츠를 결합하려는 시도는 많지만 그 진정한 융합은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가 많은데, 이 책은 인문학, 디지털 기술, 미디어, 아트, 문화 경영 등 여러 분야의 융합 창조학에 대한 본질적 이해와 접근을 시도한다. 동시에 산업계의 지식과 경험 변화에 뒤처지지 않도록 산학 네트워킹을 통한 연결고리를 만들어 양자가 지속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김 상 욱
1979. 2. 경북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으로 학사학위 취득
1981. 2. 경북대학교에서 컴퓨터과학으로 석사학위 취득
1989. 2. 경북대학교에서 컴퓨터과학으로 박사학위 취득
현재는 경북대학교 IT대학 컴퓨터학부에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7년에는 IT와 아트를 융합하여 새로운 학문과 문화를 선도할 수 있도록 경북대학교 예술대학과 IT대학이 공동으로 대학원(석사 및 박사과정)에 ‘디지털미디어아트학과’를 설립하였다. 또한 IT와 아트를 융합하는 여러 번의 디지털 미디어 아트 전시회를 가졌다. 한국정보과학회 이사를 역임하였고, 한국HCI 학회와 한국멀티미디어학회 이사직을 맡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모바일 미디어, 멀티미디어,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유비쿼터스 컴퓨팅, 소셜 미디어, 디지털 미디어 아트 등이다.

제1장 문화 기술
제2장 디지털 문화
제3장 디지털 미디어 아트
제4장 인터랙티브 아트
제5장 컴퓨터 그래픽과 디지털 영상 처리
제6장 디지털 애니메이션
제7장 디지털 음악
제8장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
제9장 디지털 스토리텔링
제10장 디지털 콘텐츠
제11장 네트워크 아트
제12장 하트 트랜스퍼: 네트워크 아트 저작
제13장 미디어 파사드: 도시 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