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년 한국에서, 1985년에 출간된 낸시 B. 라이히의 『클라라 슈만 평전』을 읽는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 지금으로부터 30년이 훨씬 넘은 시점에 라이히가 복원․재구성한 19세기 독일인 피아니스트 클라라 슈만의 생애를 들여다보는 건 여러 시차를 뛰어넘는 모험이기도 하지만, 슈만의 생애와 라이히의 의의가 가진 현재성을 재확인하는 일이기도 하다. 라이히가 쓴 클라라 슈만 평전의 가장 큰 강점과 매력은 슈만이 여성으로서 이룬 성취 중 ‘여성’과 ‘성취’ 모두에 방점을 찍어 연구를 했다는 것이다. 라이히는 이 평전을 통해 19세기 낭만주의 음악사와 피아니즘에 영향을 끼친 위대한 여성 예술가가 자신의 이름을 걸고, 자신의 가족들을 경제적․정서적으로 책임지며 벌여 온 모든 종류의 투쟁들에 그것에 걸맞은 인정과 지지를 보낸다.
이 평전은 크게 두 부로 나뉘어 있다. 제1부는 클라라 슈만의 사적인 삶에 초점을 두어 그녀가 맺은 인간관계, 가족 간 다이내믹 등을 다뤄서 독자들로 하여금 음악가로서 슈만이 성장하게 된 토대나 자양분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제2부는 슈만의 음악가적 면모와 그녀의 음악적 성취에 거의 모든 지면을 할애했다. 때문에 일반 독자나 음악 애호가인 독자라면 슈만의 개인적 면모를 다룬 제1부부터 읽어 가면서 한 여성의 성장 과정, 예술가로서 발전해 가는 관계 등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보다 전문적인 독자라면, 제2부만을 발췌해서 읽음으로써 클라라 슈만의 곡에 대한 이해에 깊이를 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클라라 슈만 평전』은 2001년 개정판이 출간된 이후로도 슈만 연구에 있어서 독보적 입지를 지키고 있기 때문에 2019년 이후의 한국 독자들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연구 내용과 음악(사)적 혹은 여성주의적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무엇보다 이 번역서가 출간된 2019년은 클라라 슈만 탄생 200주년이 되는 해다. 번역서의 출간 시기가 이런 중요한 해와 맞물린 것은 뜻깊은 우연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슈만의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는 연주회나 강연 등이 올해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펼쳐질 거라 쉽게 예상할 수 있다. 이런 때 한국에서 출간된 최초의 슈만 평전 번역서가 음악 전공자뿐 아니라 일반 독자들에게도 슈만의 생애의 다양한 측면을 알리는 주요한 토대작업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한겨레 _ 문화_책과 생각 _ '불굴의 생존자' 클라라 슈만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891603.html
imbc _ 문화사색 _ '문화사색' 19세기 여성 피아니스트 클라라 슈만을 만나다
http://enews.imbc.com/News/RetrieveNewsInfo/261097
한겨레 _ 문화일반 _ 유리천장을 깬 여성 작곡가 슈만·멘델스존을 아시나요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897217.html
매일신문 _ 문화일반 _ [책]클라라슈만 평전/낸시 B.라이히 지음/강자연·하인혜 옮김/경북대 출판부 펴냄
https://news.imaeil.com/Culture/2019042320132064124
인천투데이 _ 문화_교양 _ [사연이 있는 클래식] 타고난 재능, 경이로움 그 자체
http://www.inch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115002
인천투데이 _ 문화_교양 _ [사연이 있는 클래식] 피아니스트 꿈 접고 작곡가·음악평론가로
http://www.inch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115259
교수신문 _ BOOKS_새로나온 책 _ 클라라 슈만 평전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44165
오마이뉴스 _ 문화 _ 괴테도 쇼팽도 극찬한 피아니스트의 급성장기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548141&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지은이
낸시 B. 라이히(Nancy B. Reich)
낸시 B. 라이히는 미국 뉴욕 소재 퀸스 칼리지에서 학사학위를 받았다. 컬럼비아대학교 사범대학에서 석사학위 취득 후 뉴욕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퀸스 칼리지와 뉴욕대학교에서 전임교원으로, 바드 칼리지와 윌리엄스 칼리지에서 방문교수로 재직했다. 주요 저작은 본 평전 『클라라 슈만 평전』이 있다(1985년 코넬대학교 출판부에서 초판 출간, 2001년 재판 출간). 클라라 슈만 사후 100주년을 기념하여 미국의 작곡가, 작가, 출판협회가 주관하는 ASCAP-Deems-Taylor 상을 받는 영예를 얻었다. 또한 츠비카우시에서 수여하는 로버트 슈만 상을 받기도 했다. 이 평전 외에도 라이히는 로버트 슈만, 클라라 슈만, 패니 멘델스존 헨젤, 그리고 요하네스 브람스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썼다.
옮긴이
강자연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피바디 콘서바토리에서 피아노 솔로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영국 길드홀 음악원에서 반주로 석사 및 박사과정을 이수하고, 2011년 슈만의 후기 피아노곡과 성악곡을 다룬 「로버트 슈만의 연가곡집(cycle)」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문 반주자이자 실내악 연주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반주과 대우교수로 재직 중이다.
하인혜
고려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영문과에서 르네상스 영문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에서 「18세기 영국의 포스트휴먼 상상력」이란 주제의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660년부터 1830년대 영국의 물질문화와 기계철학, 문학이 교차하는 지점을 연구하며 여러 편의 논문을 쓰고 있다. 현재 인천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재판 서문
초판 서문
재판에 부치는 감사의 글
초판에 부치는 감사의 글
연대표
언급된 문헌 목록과 축약어
그림 목차
제1부 클라라 슈만의 생애
제1장 서곡: 라이프치히에서 온 비크 가족
프리드리히 비크
마리안 트롬리츠 비크 바르기엘
클라라: 유년기
제2장 클라라 비크의 음악 인생이 시작되다
어린 연주자
제3장 로버트 슈만과 비크가家의 사람들
제4장 비크와의 결별
제5장 결혼
제6장 드레스덴 시절
제7장 뒤셀도르프 시절, 그리고 로버트 슈만의 죽음
제8장 말년
어머니로서 보낸 시절
마리 슈만
엘리제 슈만 좀머호프
율리 슈만, 라디카티 디 마르모리토 백작 부인
에밀 슈만
루드비히 슈만
페르디난트 슈만
오이게니 슈만
펠릭스 슈만
방랑자
음악가
돈
활동을 줄이는 시기
제2부 클라라 슈만의 삶의 주제들
제9장 클라라 슈만과 요하네스 브람스
제10장 벗과 동료들
프레데릭 쇼팽
프란츠 리스트
리하르트 바그너
펠릭스 멘델스존 바르톨디
요제프 요아힘
율리우스 슈톡하우젠
폴랭 비아르도
제11장 작곡가이자 편집자로서의 클라라 슈만
작곡 공부
야망, 모순 그리고 여성의 삶
클라라 비크 슈만의 피아노 음악
작품번호가 없는 피아노 작품들
클라라 비크 슈만의 가곡들
작품번호가 없는 가곡들
클라라 슈만이 편집한 작품들
제12장 전문 연주자
레퍼토리
“여사제”의 영향력
클라라 슈만과 로버트 슈만의 음악
외국에서의 반응
언론과 대중의 반응
기획과 매니지먼트
신동
여성 음악가
제13장 학생이자 선생으로서의 클라라 슈만
작품 목록
장별 미주
참고문헌
색인
역자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