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시대 일반회화가 거의 전무한 실정에서 불화와 더불어 고려사경은 고려회화의 예술성 및 회화사적 가치를 밝힐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이 책은 오랜 답사와 조사를 통해 국내뿐 아니라 일본 등 국외의 박물관, 대학, 사찰 등에 유존하고 있는 고려사경을 일일이 조사·분석한 결과물이다. 자료 접근이 어려웠던 일부 사경을 제외하면 소재가 알려져 있는 거의 대부분의 고려사경이 망라되어 있고, 사경 발원문, 서체 및 서자, 표지 화, 변상화 모두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고 있으므로 향후 고려사경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책은 총 3부 1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 희 경
2006. 8. 30. 대구가톨릭대학교 미술대학 예술학과 교수 정년 퇴임, 현 명예교수
경북대학교 문리과대학 철학과 문학사
日本九州大學 大學院 문학석사
日本九州大學 大學院 문학박사 『高麗寫經의 硏究』
대한민국 문화재감정위원 역임
경북문화재 전문위원 역임
경산시립박물관 건립 자문위원 역임
저서
『恭齊 尹斗緖와 一家畵帖』 효성여대출판부, 1984년
『高麗寫經의 硏究』 미진사, 1986년
『佛敎美術의 基本』 학연문화사, 1999년
『우리 영혼의 불꽃 고구려 벽화』 태학사, 2001년

제1부 고려사경 총설
서론
제1장 사경의 역사와 종류
제2장 고려사경의 시대적 배경과 사상적 특징
제3장 고려국왕·왕실발원사경과 사경원 및 금자·은자원에 관한 고찰
제4장 고려사경 발원문연구
제5장 고려사경의 서체와 서자
제6장 고려화적과 사경변상화
제2부 고려사경 표지화
서론
제1장 통일신라사경의 연당초문양
제2장 고려국왕·왕실발원의 사경표지화
제3장 연대 확실한 고려후기 개인발원 사경표지화
제4장 연대 불확실한 고려후기 개인발원 사경표지화
제3부 고려사경 변상화
서론
제1장 사경변상화의 성립과 전개
제2장 고려국왕·왕실발원의 사경변상화
제3장 고려후기 개인발원 『묘법연화경』 사경변상화의 내용분석
제4장 고려후기 개인발원 『대방광불화엄경』 사경변상화의 내용분석
제5장 고려후기 개인발원 기타사경변상화의 내용분석
제6장 고려후기 개인발원 사경변상화의 양식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