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날 스포츠는 대중문화의 중심부를 차지하고 있는 매우 중요한 사회문화적 현상 중의 하나이다. 이는 스포츠가 단순히 신체활동으로서 중요성을 지니는 차원을 넘어서 가족, 교육, 정치, 경제, 종교, 대중매체, 나아가 국제외교에 이르기까지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을 뿐 아니라 사회의 다양한 부문들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사람들의 삶에도 적지 않게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스포츠는 하나의 제도이자 학문적 주제로서 중요시되자, 스포츠가 지니는 이러한 중요성을 이해하고자 국내외 여러 대학에서 현대사회에서의 스포츠 이해를 위한 강좌를 개발하여 수강생들의 관심을 얻고 있다. 이 책은 스포츠의 문화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되, 스포츠의 발전 과정에 영향을 미친 다양한 사회적 요소들과의 관련 속에서 스포츠의 변화 양상을 소개하고 있다. 오늘날 스포츠 이벤트 및 스포츠 참여에 관심을 가진 적극적 독자는 물론, 강좌를 통해 이 책을 접하게 될 학생들에게도 이 책은 스포츠에 관한 흥미로운 주제를 여럿 제시해 줄 것이다.

스포츠문화의 이해 편찬위원회
임수원 (제1장, 제2장 집필)
한국스포츠사회학회 회장,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학장,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원장 역임
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교수
이정래 (제9장, 제10장 집필)
현) 경북대학교 생태환경대학 레저스포츠학과 교수, 한국스포츠사회학회 총무이사
이규일 (제3장, 제4장 집필)
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교수, 한국스포츠교육학회 학술이사, 국기원연구소 편집위원
권기남 (제7장, 제8장 집필)
현) 경북대학교 외래교수, 한국스포츠사회학회 이사
이혁기 (제5장, 제6장 집필)
현) 경남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교수, 한국스포츠사회학회 이사
김성운 (제11장, 제12장 집필)
현) 경북대학교 체육교육학과 강의교수, 나사렛대학교 재활스포츠연구소 연구원

제1장 스포츠현상의 사회학적 이해
1. 스포츠란 무엇인가?
2. 스포츠현상의 사회학적 이해의 필요성
제2장 스포츠의 사회적 기능
1. 스포츠의 대중화
2. 스포츠의 고도화
3. 스포츠의 사회적 기능
제3장 스포츠와 사회화
1. 스포츠사회화의 개념
2. 스포츠사회화의 이론
3. 스포츠사회화의 과정
4. 앞으로의 과제
제4장 스포츠와 교육
1. 스포츠 교육의 이해
2. 스포츠의 교육적 기능
3. 체육교육의 영역
4. 스포츠 교육의 과제
제5장 스포츠와 정치
1. 스포츠와 정치의 관계
2. 스포츠의 정치적 수단
3. 국제정치에서의 스포츠
4. 스포츠와 이데올로기
제6장 스포츠와 경제
1. 현대사회와 스포츠발전
2. 스포츠와 상업주의
3. 스포츠 이벤트와 경제
4. 스포츠와 산업
5. 스포츠와 마케팅
제7장 스포츠와 대중매체
1. 대중매체 이해하기
2. 스포츠와 대중매체의 만남
3. 스포츠와 대중매체의 공생 관계 바라보기
4. 스포츠 미디어 보도에 내재된 이데올로기 바라보기
제8장 스포츠와 사회계층
1. 사회계층 이해하기
2. 스포츠에 내재된 사회계층의 특징
3. 사회계층과 스포츠 참가
4. 스포츠 참가와 계층이동 이해하기
제9장 스포츠와 일탈행동
1. 일탈행동과 스포츠 일탈행동
2. 스포츠 일탈의 기능
3. 스포츠 일탈행동의 유형
4. 스포츠 일탈행동의 원인
제10장 스포츠와 여성
1. 여성의 스포츠 참여 역사
2. 스포츠와 젠더
3. 스포츠 내의 젠더 불평등
4. 젠더 불평등의 주관자
제11장 스포츠와 스트레스
1. 스트레스의 심리학적 이해
2. 스트레스의 세 단계
3. 스트레스원
4. 스트레스 대처양식
5. 스트레스와 증후군
6. 운동과 스트레스 반응과의 관계
제12장 스포츠와 웰니스
1. 웰니스의 이해
2. 웰니스와 운동의 관계
3. 삶의 질과 스포츠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