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범용금속의 리사이클링
    손호상

    20,000 원
    페이지 : 332
    I S B N : 9788971805435
    출판일 : 2020-10-30

순환경제는 제품 생산부터 사용 이후까지의 전체 과정에서 상품의 사용 기간을 늘리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폐기물 배출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 제품의 수명이 다하여 배출되는 폐기물을 재자원화하여 지속 가능한 경제 구조를 구축하는 것이다. 다행스럽게도 금속은 리사이클링에 의해 원재료와 동등한 품질의 소재로 재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금속을 리사이클링하면 제품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와 CO2 발생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스크랩으로부터 금속을 생산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이러한 순환경제를 위한 자원 리사이클링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기술의 정립이 필요하다. 이 책은 저자의 전작


손호상

1983 경북대학교 금속공학과 학사
1985 경북대학교 금속공학과 석사
1993 일본 Kyoto대학 야금학과 박사
1985~1988 현대자동차 기술연구소
1993~1994 (주)영풍 석포제련소 기술연구소
1994~2001 포스코 기술연구소
2001~현재 경북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교수
2013~2015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학장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원장
2017~2018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회장
2018~현재 포스코 석좌교수


제1장∙자원 리사이클링의 개요
1.1 서론
1.2 범용금속(Common metals)
1.3 자원 리사이클링의 필요성
1.4 리사이클링의 요소기술

제2장∙원료의 전처리
2.1 전처리의 개요
2.2 원료의 파쇄와 분쇄
2.3 입자 크기별 분류(Size control)
2.4 선별
2.5 성형ㆍ조립
2.6 원료의 건조와 하소
2.7 배소

제3장∙금속 제련의 개요
3.1 서론
3.2 금속의 분류
3.3 금속 제련의 개요
3.4 금속 제련과 퍼텐셜도

제4장∙철 스크랩의 리사이클링
4.1 서론
4.2 철강 생산량과 용도
4.3 철강 제조 프로세스의 개요
4.4 철 스크랩의 리사이클링 기술
4.5 제철ㆍ제강 공정의 분진 처리
4.6 종합

제5장∙알루미늄의 리사이클링
5.1 서론
5.2 알루미늄의 생산량과 용도
5.3 알루미늄 제련의 개요
5.4 알루미늄 스크랩의 리사이클링 기술
5.5 알루미늄의 용탕 처리
5.6 알루미늄 드로스의 리사이클링
5.7 종합

제6장∙구리의 리사이클링
6.1 서론
6.2 구리의 생산량과 용도
6.3 구리 제련의 개요
6.4 구리 스크랩의 리사이클링 기술
6.5 구리의 용융과 주조
6.6 종합

제7장∙아연의 리사이클링
7.1 서론
7.2 아연 생산량과 용도
7.3 아연 제련의 개요
7.4 아연 스크랩의 리사이클링 기술
7.5 제강 분진의 리사이클링
7.6 폐건전지의 리사이클링
7.7 종합

제8장∙납의 리사이클링
8.1 서론
8.2 납의 생산량과 용도
8.3 납 제련의 개요
8.4 납축전지의 리사이클링 기술
8.5 종합

부록

부록1―물질의 몰 비열
부록2―물질의 표준생성열, 표준엔트로피, 융점, 끓는점
부록3―화합물의 표준생성 자유에너지
부록4―298 K에서 수용액의 표준 전극 전위
부록5―수용액계에서의 열역학 Data
부록6―SI Un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