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시대의 금속활자와 목활자에 대한 인쇄문화를 검토하였다. 현재 전하고 있는 인본을 검토하기에 앞서 조선시대에 서책을 찍어 내고 배포하던 주자소와 교서관의 변천을 통해 중앙기관의 출판활동을 살펴보았다. 또한 문헌 기록과 실물자료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금속활자의 형태, 주조, 조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한편 조선시대에 간행된 활자본을 금속활자, 한글 금속활자, 목활자 인본으로 세분하여 각 활자와 인본의 문헌기록과 함께 인본 리스트 및 이미지를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조선시대 금속활자 인쇄문화를 살펴봄으로써, 조선이 개국과 함께 통치의 기본 이념으로 성리학 기반의 제도와 국가 운영의 정책을 전개함에 있어서 소통과 통섭의 차원에서 중요한 매체와 방법으로 활자 인쇄술을 활용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권희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교수(서지학 전공)

목차
서문
제1장 총설
제1절 조선시대의 금속활자 인쇄술
1. 개요
2. 조선 전기
3. 조선 후기
제2절 조선시대의 목활자 인쇄
1. 조선 전기
2. 조선 후기
제2장 鑄字所와 校書館
제1절 鑄字所
1. 鑄字所의 設立
2. 鑄字所의 기능과 조직
3. 鑄字所의 變遷
4. 平壤에서의 活字 鑄造
제2절 『鑄字所應行節目』
1. 작성 시기와 版本
2. 구성 체제와 수록 내용
3. 儀軌 印出色과의 比較
제3절 鑄字所 關聯 扁額
1. ‘鑄字所’ 편액
2. ‘鑄字事實’ 편액
3. ‘鑄字監童諸臣題名錄’ 편액
제4절 校書館
1. 교서관의 기능
2. 교서관의 組織 및 변천
3. 교서관의 인쇄활동
제3장 朝鮮時代 金屬活字 鑄造와 組版에 관한 硏究
제1절 고려시대 기록
제2절 조선 초기의 금속활자
1. 癸未字
2. 庚子字
3. 甲寅字
4. 再鑄甲寅字(庚辰字)
제3절 2021년 서울 공평동 출토 조선 전기 금속활자
1. 금속활자 발굴 배경
2. 발굴된 금속활자 이외의 유물 개요
3. 출토된 금속활자 개요
4. 출토 금속활자의 의의와 향후 과제
제4절 한국 금속활자의 형태
1. 고려시대 금속활자
2. 『慵齋叢話』의 기록
3. 『實錄』의 기록
4. 활자 형태 변천에 대한 새로운 접근
제5절 朝鮮前期 金屬活字 印刷와 組版 方法
1. 조판 방법
2. 조판과 관련된 기록 및 선행연구 정리
3. 간행 시기에 따른 甲寅字 印本의 조판형식 분석
4. 甲寅字 계열 활자판의 組版方法
5. 『鑄字所應行節目』과 字版 및 字欌
6. 活字本의 邊欄의 組立 形態 比較
7. 實錄字의 조판 관련 기록
8. 整理字의 주조와 조판 관련 기록
9. 한국 금속활자 조판에 대한 일본 학자들의 이해
제6절 顯宗實錄字의 鑄造 및 組版 관련 기록
1. 鑄造 背景
2. 『顯宗實錄 纂修廳儀軌』
3. 『英宗實錄 纂修廳儀軌』: 일부 발췌
4. 『正宗實錄 纂修廳儀軌』: 일부 발췌
5. 조판 관련 기록
제4장 朝鮮時代 活字와 그 印本
제1절 금속활자와 그 인본
1. 癸未字
2. 庚子字 180
3. 甲寅字 계열 금속활자
4. 丙辰字
5. 庚午字
6. 乙亥字
7. 丁丑字
8. 戊寅字
9. 乙酉字
10. 甲辰字
11. 癸丑字
12. 丙子字
13. 經書 한글활자
14. 觀象監活字(印曆字)
15. 洛東契字와 顯宗實錄字
16. 丙辰倭諺字
17. 韓構字
18. 校書館印書體字
19. 元宗字
20. 栗谷全書字
21. 整理字
22. 整理字體 鐵活字
23. 全史字
24. 筆書體 鐵活字
제2절 한글 금속활자
1. 조선 전기 한글 금속활자
2. 조선 후기 한글 금속활자
제3절 목활자와 그 인본
1. 功臣錄券字
2. 東國正韻字
3. 乙酉字體 木活字
4. 印經木活字
5. 錦城木活字
6. 訓練都監字
7. 校書館筆書體字
8. 生生字
9. 春秋綱字
제5장 결론
제1절 조선시대 활자 인쇄술의 발달과 지식정보의 소통 개괄
제2절 1930년대 동아일보 金瑗根의 「조선주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