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 천상열차분야지도
    양홍진

    28,000 원
    페이지 : 300
    I S B N : 9788971804117
    출판일 : 2014-11-10

『디지털 천상열차분야지도』, 최초의 우리 전통 별자리 catalogue! 

우리 민족은 2천 년 이상 하늘을 꾸준히 관측하고 기록해 왔으며, 그 결과 다양하고 많은 천문 유산을 남겼다. 여러 번의 전란을 겪으면서 소중한 천문 유물과 기록이 많이 소실되었지만 여전히 많은 천문 자산이 남아 전해지고 있다. 현존하는 국내 천문 유물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은 신라 선덕여왕 때 만든 경주 첨성대이다. 첨성대와 더불어 우리 역사에서 대표적인 천문 유물을 꼽으라면 사서(史書)에 기록된 천문 관측 기록과 ‘천상열차분야지도’를 꼽을 수 있다. 천문 관측 기록과 천상열차분야지도는 2천 년 동안의 천문 관측 역사가 집약된 우리의 소중한 천문 자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첨성대 외에 다른 천문 유물은 그 가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다. 이 책은 천상열차분야지도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우리의 과학 문화재인 천상열차분야지도를 과학적․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집필되었다.


양홍진

저자는 경북대학교에서 천문대기과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 고대 천문기록 분석이라는 연구로 천문학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현재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고천문 관측 기록과 전통 별자리이며, 동아시아 역대 유성과 유성우, 고려시대 흑점과 변광성, 고구려 무덤 별자리와 고인돌 별자리, 전통 동물 별자리 등을 연구해 발표하였다. 2005년에 발표한 고려시대 물병자리 변광성 폭발 기록 연구는 세계 4대 천문학 저널인 유럽천체물리학회지(A&A)의 표지 논문으로 선정되었으며, 2006년에는 고천문 연구로 제16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현재는 고천문 관측 기록 연구를 비롯해 천문역사학과 천문고고학, 민속천문학 분야를 함께 연구하고 있으며 국립민속박물관, 국립과천과학관, 국립중앙과학관, 제주항공우주박물관 등에서 고천문 관련 유물 심사위원과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천상열차분야지도 사진

들어가는 말
 
Ⅰ. 천상열차분야지도 개론
  1.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
  2.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역사
  3. 천상열차분야지도의 구성과 내용
  4. 천상열차분야지도의 별자리 목록
  5. 동서양 별자리 비교
 
Ⅱ. 석각 천상열차분야지도 3차원 정밀 측정
  1. 천문도 3차원 측정과 측정기의 특성
  2. 천문도 실측 상세도
  3. 천문도의 별자리와 명문 스캔
  4. 천문도의 별 측정: 좌표와 크기
 
Ⅲ. 천문도 별자리 비교 분석
  1. 한국과 중국의 3원 별자리 비교
  2. 한국과 중국의 28수 별자리 비교
  3. 태조본과 숙종본 석각의 성도 비교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