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2년 미국 초이스(CHOICE) 추천 우수 과학도서
지진은 왜 일어나는가?
지진은 예보할 수 없는가?
우리는 지진에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가? 이 책은 지진에 관한 기본지식을 명확히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는 동기에서 태어났다. 더 나아가 과학을 탐구해 나가는 이차적 목표도 함께 있다.
이 책의 두 번째 목표는 과학적 개념을 설명하는 것을 넘어 지진과학에 관한 열정과 흥분을 나누어 갖자는 것이다. 이 『지구를 흔드는 과학』은 아는 지식을 전달하는 데만 그치지 않고 우리가 어떻게 그것을 알게 되었는지, 또 이 지식이 왜 특별한 의미가 있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현대 지진과학이 축적하고 있는 지식의 양은 상당한데, 이는 혁명과 발전의 세월을 겪으면서 영감과 땀이 뭉쳐져 일구어진 것이다. 우리가 아는 몇 가지를 잠깐 열거해 보면 지구의 나이, 지구의 내부 구조, 그리고 수억 년에 걸쳐 계속되어 온 대륙의 이동, 이런 것들이 있다. 우리는 이 많은 것들 그리고 오늘날 우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정교한 과학기술 모두를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이들은 지난날 인류가 성취해 낸 방대한 업적이다. 이를 음미해 보지 못하면 우리 자신의 가장 뛰어난 장점을 알아보고 평가하지 못하는 것이 된다. 거인의 어깨에 걸터앉아서 보면 더 멀리 내다보인다. 지금 우리가 어디에 서 있는가를 알게 되면, 우리가 더 높게 곧추서야겠다는 것을, 그리고 더 먼 곳을 지향해야겠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여러분이 지진 문제에 대해 어떤 판단을 할 기본지식을 얻고자 이 책을 집어 들었다면, 희망컨대 이 책은 확실히 도움을 줄 것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나는 여러분들이 이 책을 통해서 찾고자 했던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얻게 되기 바란다. 지진과학은 나를 경탄하게 하였고 독자들도 그렇게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지은이
수잔 엘리자베트 호프 Susan Elizabeth Hough
미국 지질조사소(USGS) 소속의 지진학자로, 캘리포니아 주립대학(UC Berkeley)을 졸업하고 1987년 캘리포니아 주립대학(UC San Diego) 스크립스 해양학 연구소에서 지구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8년부터 2004년까지 미국 지진학회 이사회 이사, 2006년부터 2009년까지 남부 캘리포니아 지진센터 이사를 역임했다. Geotimes Magazine의 편집자이며, Earthshaking Science 등 5권의 책을 저술하였다.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와 여러 출판물에 많은 기사를 게재하고, 여러 학술지에 100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옮긴이
김성욱
부산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지질학과 지구물리학을 전공하였고 1988년에 한반도 지체구조 발달을 주제로 지구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주)지아이 지반정보연구소 대표로 있다. 주 관심 분야는 지반공학과 자연재해의 원인 및 대응기술 개발이며, 이와 관련하여 20여 개의 연구과제에 참여하였고, 학술지에 60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월성원자력발전소 1호기 스트레스테스트 민간검증단과 원전안전특별위원회의 지질 및 지진 분야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김인수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로 30여 년간 구조지질학과 지구물리학을 연구하였고 현재는 명예교수로 있다. 연세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지질학을 전공하였고 석사학위를 마친 후 독일정부(DAAD) 초청 장학생으로 뮌헨대학교(LMU)에서 유학하며 우등(Cum Laude)으로 지구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 관심 분야는 지체구조운동과 지구물리탐사이며, 암석의 잔류자기와 대자율 연구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는 한편,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라몬트-도허티 지질연구소에서 연구하며 미국 동부 지역의 대륙분열 퇴적분지와 샌프란시스코 및 캐나다 뉴펀들랜드의 대륙지괴 충돌 지역을 답사하였다. 대륙이동설을 제창한 독일의 지구물리학자 알프레드 베게너(Alfred Wegener)의 역사적 명저 『대륙과 해양의 기원(Die Entstebung der Kontinente und Ozeane)』과 존 임브리와 캐서린 팔머 임브리의 『빙하기(Ice Ages: Solving The Mystery)』를 번역하였다.

옮긴이의 말
머리말
감사의 말
제1장 ─ 판구조론 혁명
제2장 ─ 지진을 해부하다
제3장 ─ 지진의 상호작용
제4장 ─ 지반 운동
제5장 ─ 지진 예보라는 성배(聖杯)
제6장 ─ 지진재해도 만들기
제7장 ─ 과거로의 여행
제8장 ─ 과학의 중요성 인식시키기
권장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