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소기반 지리교육
    조철기

    15,000 원
    페이지 : 252
    I S B N : 9788971805503
    출판일 : 2020-12-21

나는 개인적으로 공간에 대한 학습보다 장소에 대한 학습을 좋아합니다. ‘공간’은 왠지 딱딱하고 매끈하고 추상적이고 기하학적이며 수학적이고 이성적으로 느껴집니다. 반면 ‘장소’는 부드럽고 울퉁불퉁하고 구체적이고 감성적입니다. 공간에는 사람 냄새가 나지 않지만 장소에는 사람 냄새가 납니다. 그래서 좋습니다. 나는 사람 냄새 나는 지리를 좋아하는 반면, 무미건조한 공간, 인간과 분리된 자연, 통계 데이터로 가득 찬 지리를 싫어합니다. 나는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지리를 싫어합니다. 나는 사람들에게, 자라나는 학생들에게 뭔가 메시지를 줄 수 있는 지리를 좋아합니다. 나는 그게 지리라고 생각합니다. 나는 지리 과목이 장소적 접근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일상생활 지리(Everyday Geography)를 발견하고 풍요롭게 할 수 있도록 돕는 과목이라고 생각합니다. 일상생활 지리는 학생들의 일상적 행위와 경험에 견고하게 뿌리내려 있습니다. 이러한 일상생활 지리는 학생들이 세상에서 잘 살아갈 수 있도록 실제적인 도움을 줄 것입니다. 나는 지리가 학생들에게 세상에서 살아가는 것을 배우도록 도와주는 것보다 더 큰 존재 이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은 이러한 아이디어를 실행하려는 나의 시도입니다.


조철기

1970년 경상남도 산청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지리교육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대구고등학교에서 지리를 가르치던 중 일본 문부과학성 시험에 합격하여 히로시마대학교에서 지리교육 및 사회과교육을 공부하고 돌아왔다. 지금은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지리교육에 대한 강의와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지리교육 중에서도 특히 시민성교육, 비판교육학, 장소학습, 내러티브, 지리적 상상력, 사회적 구성주의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고령군 지역연구』(공저, 2010), 『사회과 스토리가 있는 지도학습 교재 만들기』(공저, 2011), 『학교 현장실습 가이드 북』(공저, 2011), 『지리교육학』(2014), 『지리 교재 연구 및 교수법』(2015), 『일곱 가지 상품으로 읽는 종횡무진 세계지리』(2017), 『핵심 지리교육학』(2018), 『글로벌 사회정의를 위한 개발지리와 개발교육』(2018), 『현대 지리교육학의 이해』(공저, 2018), 『새로운 지역지리학과 지리교육』(공저, 2019), 『시민성의 공간과 지리교육』(근간)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교실을 바꿀 수 있는 지리수업 설계』(공역, 2012), 『지리교육의 새 지평―포스트모더니즘과 비판지리교육』(2012), 『사고기능 학습과 지리수업 전략』(2013) 등이 있다.


머리말

1 나의 장소
2 장소에 왜 끌리는 걸까?
3 다르게 보고, 다르게 말할 수는 없을까?
4 장소의 사회적 구성과 사회문화적 구성주의
5 장소를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
6 장소와 감성 그리고 감성적 문해력
7 장소감: 다양한 스케일에서 장소감을 어떻게 발달시킬 수 있을까?
8 장소와 사고력
9 장소와 개인지리
10 내러티브는 장소(감)를 가르치고 배우는 데 왜 유용할까?
11 장소와 행복/웰빙
12 장소와 살기좋음
13 장소와 재현의 지리
14 장소를 통해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15 우리는 다른 장소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16 내가 살고 있는 장소를 어떻게 말할 수 있을까?
17 장소에서의 기호와 상징
18 장소의 이용에 대한 지각과 인식
19 장소 만들기
20 장소와 정체성
21 지리적 기능: 정의적 지도/감성적 지도
22 지리적 기능: 심상지도
23 나의 개인적 공간 내에서 이동하기
24 미디어는 장소를 어떻게 재현할까?
25 미디어 리터러시와 장소학습
26 공간적 포섭과 배제: 사회정의와 공간정의
27 실제 공간 대 가상 공간
28 장소 간의 글로벌 상호연결과 상호의존성
29 상품사슬: 사람과 장소 연결하기
30 지역인, 세계인, 이동인
31 장소에 대한 인간의 영향
32 특별한 기능을 가진 장소: 매력적인 장소
33 여행과 장소: 개인지리 확장하기
34 스포츠 이벤트와 장소
35 대중음악의 지리와 장소
36 록 뮤직의 장소적 확산
37 장소와 인권: 공간적 불평등과 공간정의
38 장소와 어린이 및 청소년 지리
39 장소와 왜곡, 편견, 고정관념
40 장소기반 지리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