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날 대기의 조성이 지구 현세 역사에서 전례가 없는 비율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산화탄소의 양은 과거 1세기 동안 약 25% 증가하였고, 수십 년 후에는 5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메탄의 농도는 100배 이상 높아졌다. 전 세계적으로 산화질소의 생산은 과거에 비해 거의 40% 증가하였다. CFCs의 농도는 1930년대 이들 화합물에 대기권이 처음 노출된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런 변화들은 인간 생활의 부산물로서 인간에 의해 유발된 것이다. 인간에 의해 빠른 속도로, 그리고 전 지구적 규모로 대기환경이 변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은 현재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네 가지 대기환경 문제, 즉 도시 규모인 대기오염과 스모그(제2장), 국지 및 지역 규모인 산성비(제3장), 전 세계적 규모로 일어나는 오존구멍(제4장)과 지구온난화 문제(제5장)를 설명하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 지구상에서 발생하고 있는 모든 대기환경 문제들이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대기권 문제는 수권과 생물권의 연장선상에서 고려되어야 한다는 저자의 생각이 이 책의 기저를 관류하고 있다.

윤 일 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기상학으로 이학석사학위와 이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옮긴 책으로는 『대기오염기상학』, 『미기상학개론』, 『미기상학 제2판』, 『알기쉬운 대기오염학』, 『현대기후학』, 『천재들의 과학노트 6 대기과학』 등이 있으며, 지은 책으로 『고등학교 지구과학 Ⅰ, Ⅱ』, 『대기과학의 기본과 실습』, 『스토리 기상학』, 『D-Day 예보에 참여한 기상학자들』 등이 있다. 현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지구과학교육전공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제1장 서론
제2장 도시 대기오염
1. 도시 대기오염의 역사
2. 대기오염물질들의 제거 과정
3. 대기오염물질 분산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현상
4. 대기오염의 영향
제3장 산성비
1. 산성침적의 역사적인 양상
2. 산도의 원인
3. 산성비의 관측
4. 산성침적의 효과
5. 산성침적에 대한 최근의 규제 조절
제4장 오존 고갈
1. 오존층 연구의 역사
2. 현재 오존층의 구조
3. 오존층과 자외선 복사 사이의 관계
4. 성층권 오존층의 최근 변화
5. 전 세계 오존 감소에 기여하는 물질
6. 남극 오존구멍
7. 자외선 복사 양의 증가가 생명체와 생태계에 끼치는 영향
8. CFCs의 규제
제5장 지구온난화
1. 지구온난화의 역사적인 국면
2. 온실효과와 지구온난화
3. 현재 진행되는 지구온난화의 증거
4. 지구온난화가 끼칠 수 있는 영향
5. 지구온난화의 규제적인 조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