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간으로 읽는 중앙아시아
    이채문

    15,000 원
    페이지 : 256
    I S B N : 978-89-7180-330-1
    출판일 : 2012-01-06

중앙아시아는 지정학적 위치, 에너지 자원의 중요성 등으로 오랜 관심 대상이 되어 왔다. 『공간으로 읽는 중앙아시아』는 그간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중앙아시아 지역을 공간적으로 분석한 책이다. 지금까지 중앙아시아 연구서의 대부분이 개별국가를 분석단위로 한 것과 달리, 이 책은 중앙아시아 지역 전체를 하나의 분석단위로 접근한 데 의의가 있다. 역사적으로 중앙아시아는 실크로드의 핵심지역이었으므로 중앙아시아에 대한 공간적 연구는 한국과 유럽을 연결하는 신 실크로드 구축을 위한 연구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중앙아시아의 정체성을 결정짓는 이슬람의 성격을 규명하여, 9・11테러 이후 전 세계의 관심의 초점이 되는 이슬람 근본주의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아울러 전 세계 에너지 자원의 보고인 중앙아시아의 자원 개발 및 이용을 둘러싼 각국의 첨예한 갈등을 공간적 측면에서 접근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가질 뿐 아니라 관심 있는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채 문

울산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였고, 현재 동 대학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하와이대학교(석사)와 미네소타대학교(박사)에서 사회학과 대학원 과정을 이수하면서 중앙아시아와 러시아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특히 중앙아시아의 다양한 민족과 지역연구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으로 매년 중앙아시아 구석구석을 답사하면서 사례연구를 하고 있다. 또한 고려인을 포함한 소수민족에 대한 비교연구를 위해 중앙아시아뿐만 아니라 시베리아, 사할린, 연해주, 남부 러시아의 볼가강과 돈강 유역, 그리고 크림반도를 포함한 우크라이나 등지에서도 현지조사를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동토의 디아스포라』(2007, 경북대출판부)가 있고, 중앙아시아와 러시아의 민족 및 지역학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머리말
 

1. 중앙아시아 개관
2. 중앙아시아의 역사
3. 중앙아시아 철도의 과거와 현재
4. 과도기의 중앙아시아
5. 중앙아시아와 이슬람
6. 중앙아시아의 지정학적 재편
7. 중앙아시아와 에너지 자원
8. 중앙아시아의 수자원
 

맺음말
주석
중앙아시아 연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