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토지사상가 헨리 조지의 대표적인 저작 『진보와 빈곤』(1879)의 축약판을 번역한 책이다. 헨리 조지는 『진보와 빈곤』을 통해 19세기 후반에 사회를 풍미하던 통설, 즉 인구 증가가 빈곤의 원인이라는 견해를 반박하면서 사회가 고도로 진보하는 가운데 극심한 가난이 현존하는 것은 토지의 사유 때문이라고 갈파하였다. 그리고 그 대책으로 지대의 100%를 조세로 징수하는 이른바 토지가치세 또는 토지단일세를 제안하였다. 이 주장은 이후 많은 이상주의자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켰으며 각국의 토지제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뿐만 아니라 1990년대 일본의 경제 추락, 2008년 미국발 금융 위기 등 경제위기의 배후에 부동산 투기가 도사리고 있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지면서 출간 이래 100년이 지난 지금, 그 학술적・정책적 가치가 새롭게 조명받고 있다.

김 윤 상 (역자)
토지정책 전공
경북대학교 행정학부 교수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도시계획학 박사)
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사)
저·역서
『지공주의: 새로운 토지 패러다임』(2009)
『알기 쉬운 토지 공개념』(2006)
『땅과 정의』(에세이집, 2011)
『진보와 빈곤』(완역, 1997)
『노동 빈곤과 토지 정의』(역서, 2012)
『세금을 없애고 지대를 걷자』(역서, 2011) 외 다수

수정번역판을 내면서
편집자 서문
제1장 우리 시대의 큰 수수께끼
제2장 용어 정의의 중요성
제3장 임금과 자본
제4장 임금의 원천
제5장 자본의 기능
제6장 인구와 생존물자
제7장 부의 분배
제8장 지대의 법칙
제9장 임금의 법칙
제10장 자본에 대한 이자
제11장 물질적 진보가 부의 분배에 미치는 효과
제12장 광대한 평원의 예
제13장 경제불황의 일차적 원인
제14장 부의 증대 속에 존재하는 빈곤
제15장 몇 가지 대책의 검토
제16장 수수께끼는 풀리다 - 최초의 위대한 개혁
제17장 조세의 원칙에 의한 검토
제18장 지지와 반대
제19장 토지사유제의 역사
제20장 소유권의 정당한 근거
제21장 토지소유자에 대한 보상 문제
제22장 개혁에 따른 경제ㆍ사회의 변화
제23장 인간 행동의 근본 동기
제24장 인간 진보의 법칙
제25장 현대문명의 쇠퇴
제26장 자유의 여신이 부른다
제27장 결론
부록 헨리 조지 약력
지공주의 - 헨리 조지 사상의 현대적 해석
첫 번역 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