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식디미방에 관한 종합적 연구
음식디미방은 조선시대 한글 음식 조리서의 백미이다. 장씨 부인은 조리의 주체로서 식재료의 생산과 획득, 조리 과정, 조리 기구, 빈례와 집안의 각종 대소사에 따른 음식 준비, 시의적절한 식품의 갈무리 방법을 꼼꼼히 기술하여, 350년 뒤 후손들도 17세기 경상도 지역 사대부가의 식생활을 엿볼 수 있게 하였다. 전문 조리자가 읽어도 감탄을 자아낼 만큼 서술이 생생할 뿐만 아니라 정확하고 과학적이다.
'음식디미방'은 학계 및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과 일반인들에게까지도 널리 알려져 있으며, 조선시대 음식 조리서를 대표하는 책으로 평가받아 왔다. 이런 평가를 받으면서 일반 대중들에게까지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이 책이 그만한 가치를 가졌기 때문이다. '음식디미방과 조선시대 음식문화'는 '음식디미방'이 이와 같이 높이 평가된 근거를 밝히고, '음식디미방'의 위상과 가치를 종합적인 관점에서 정립하기 위한 것이다.

남권희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박록담 사)한국전통주연구소장, 숙명여대 전통문화예술대학원 객원교수
배영동 안동대학교 민속학과 교수
백두현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임기영 경북대학교도서관 사서(문헌정보학 박사)
장윤수 대구교육대학교 윤리교육학과 교수
주영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문화예술학부 교수
차경희 전주대학교 한식조리학과 교수

책머리에
제1장 『음식디미방』의 위상과 가치
1. 『음식디미방』의 위상
2. 『음식디미방』의 특징과 가치
3. 방문 텍스트의 언어적 특징과 가치
4. 『음식디미방』의 가치
제2장 『음식디미방』, 누가 언제부터 무엇을 연구하였을까?
1. 세상에 널리 알려지기까지
2. 책의 명칭과 저자에 대한 연구
3. 장씨 부인의 생애에 대한 연구
4. 체재와 내용에 대한 연구
5. 앞으로 기대되는 연구 방향
제3장 『음식디미방』의 서지적 특징
1. 책의 형태와 특징 연구를 시작하며
2. 형태 서지
3. 구성 및 내용
4. 장서의 전래 경위
5. 서지적 특징
6. 앞으로의 연구 방향
제4장 『음식디미방』으로 보는 17세기 생활문화
1. 『음식디미방』 이해를 위한 전제
2. 『음식디미방』에 반영된 반가의 체통과 반가 여성의 삶
3. 『음식디미방』 등장의 역사적·문화적 배경
4. 『음식디미방』의 조리법과 식품 관리
5. 17세기 반가 생활사의 보고 『음식디미방』
제5장 『음식디미방』의 음식 조리법 연구
1. 음식 조리는 조선 여인의 덕목
2. 『음식디미방』의 편제와 특징
3. 『음식디미방』에 수록된 음식 내용
4. 『음식디미방』 조리법의 특징
5. 『음식디미방』 속의 식품과 그 가공
6. 이 뜻을 알아 이대로 시행하라
제7장 『음식디미방』의 양주법(釀酒法) 특성과 다른 문헌에 미친 영향
1. 『음식디미방』의 양주법(釀酒法) 특성 연구의 기준과 분석 방법
2. 조선시대 양주(釀酒) 관련 문헌에서 찾는 한국의 전통 양주법(釀酒法)
3. 『음식디미방』의 양주 횟수에 따른 양주법 특성 연구
4. 『음식디미방』의 양주 단계에 따른 주원료의 종류와 사용 빈도
5. 『음식디미방』의 주품별 양주 단계에 따른 주원료의 가공법
6. 『음식디미방』의 주품별 양주 단계에 따른 누룩의 종류와 사용 횟수
7. 『음식디미방』의 주품별 양주 단계에 따른 물의 종류와 사용 횟수
8. 『음식디미방』의 주품별 양주 단계에 따른 발효 기간
9. 『음식디미방』의 주품별 양주 시기에 대한 분석
10. 『음식디미방』의 주품별 최초 수록 문헌 및 수록 빈도수 분석
11. 『음식디미방』에 최초로 수록된 주품명 및 수록 빈도가 높은 주품별 유래와 특징
제8장 장씨 부인, 성인을 향한 지경(持敬)의 삶
-『음식디미방』의 배경으로서 가학 전통과 경(敬)의 실천-
1. 여중군자, 장씨 부인께 드리는 합당한 칭호
2. 유학의 공동체 자아론과 장씨 부인
3. 가학의 형성과 발전
4. 시댁의 가풍과 사회적 실천의 전통
5. 『음식디미방』과 지경의 삶
6. 성인의 길, 여자의 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