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는 국민 모두의 것입니다
    헨리 조지

    17,000 원
    페이지 : 270
    I S B N : 9788971805961
    출판일 : 2022-12-12

이 책은 19세기 미국의 토지개혁가 헨리 조지(Henry George, 1839~1897)의 대표적 연설문 아홉 건의 번역을 담고 있다. 연설은 일반 대중을 상대로 하므로 전달력이 높고 또 저서에 비해 분량도 길지 않아서, 헨리 조지 사상을 이해하는 길잡이로 적합하다.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번역자가 연설문 본문 외에 간략한 해제와 함께 핵심 문장을 소개하였고 연설문마다 소제목과 각주를 추가하였다. 헨리 조지는 1839년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나 서부 개척, 남북전쟁, 대륙 횡단 철도, 과학과 산업의 발전 등 19세기 중·후반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살았다. 가난한 집안 출신으로 중등교육도 채 못 받고 소년기부터 온갖 직업을 전전하면서 절망적인 빈곤을 겪었다. 이런 환경과 체험을 통해, 사회가 눈부시게 발전하는데도 가난이 사라지지 않는 문제의 원인을 밝히고 해결하는 일을 일생의 과업으로 삼게 되었다. 「진보와 빈곤」, 「사회문제의 경제학」, 「노동 빈곤과 토지 정의」 등 수많은 저서에 담긴 헨리 조지의 사상을 그의 연설문을 통해 생생하게 접할 수 있다.

이 책 「국토는 국민 모두의 것입니다」는 기존에 경북대학교출판부에서 출간된 다섯 권짜리 소책자 헨리 조지 연설집(「헨리 조지에게 듣는다」)을 한 권으로 합친 것으로, 책 말미에 번역자의 최근 글 세 편이 부록으로 실려 있다. 헨리 조지가 살았던 19세기 미국이 아닌 21세기 한국의 상황에서 헨리 조지 사상을 되새겨 보는 내용이다.


헨리조지

헨리 조지(Henry George, 1839~1897)는 미국의 토지개혁가이자 저술가이자 언론인.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사회가 발전해도 빈곤이 사라지지 않는 문제를 깊이 연구하였고, 국민 모두의 것인 토지를 사유할 수 있게 하는 제도가 근본 원인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개혁 방안으로는, 토지를 국유화할 필요는 없고 토지가치 즉 지대를 조세로 징수하면 된다고 하였다.
헨리 조지의 토지 사상은 19세기 후반에 국제적으로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그의 대표작 『진보와 빈곤』(Progress and Poverty, 1879)은 당시 성경 다음으로 많이 보급된 책이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였다. 러시아의 대문호 톨스토이는 헨리 조지의 영향을 받아 자기 소유의 토지를 포기하였을 뿐 아니라, 노년기의 대표작인 『부활』에서 주인공 네플류도프가 헨리 조지의 사상을 실천하는 모습을 자세히 묘사하기도 하였다. 중국의 국부 쑨원(孫文)은 삼민주의 가운데 민생주의에 헨리 조지의 사상을 반영하였다.
『진보와 빈곤』 외에도 『사회문제의 경제학』(Social Problems, 1883), 『노동 빈곤과 토지 정의』(The Condition of Labor, 1891) 등 수많은 저서와 강연, 기사를 남겼다.

김윤상
서울대학교 법과대학과 환경대학원, 미국 펜실베니어 대학교(도시계획학 박사)를 졸업하였다. 공군 중위로 전역한 1976년부터 40년 넘게 경북대학교 행정학부 교수 및 석좌교수로 재직하다가 지금은 자유업 학자로 활동하고 있다.
토지사유제, 서울중심주의, 학벌주의 등 특권적ㆍ차별적 사회제도와 관행에 주목하면서 특히 토지 불로소득으로 인한 불평등 문제를 깊이 연구해 왔다. 최근에는 좌파가 추구하는 이상을 우파도 지지하는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다는 좌도우기론(左道右器論)을 제시하면서 화합과 평화를 추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토지공개념: 행복한 세상의 기초』(2018), 『이상사회를 찾아서: 좌도우기의 길』(2017), 『특권 없는 세상: 헨리 조지 사상의 새로운 해석』(2013), 『지공주의: 새로운 토지 패러다임』(2009) 등이 있고, 역서로는 헨리 조지의 『진보와 빈곤』(1997, 2016), 『노동 빈곤과 토지 정의』(2012) 등이 있다.


머리말

 
1877
3월 9일, 캘리포니아 대학교
경제학 연구
The Study of Political Economy
 
7월 4일, 샌프란시스코
자유 예찬
Ode to Liberty
 
1878
6월 샌프란시스코의 히브리청년협회
모세
Moses
 
1884
2월 18일, 스코틀랜드의 글래스고 시청
스코틀랜드여, 일어나라
Scotland and Scotsman
 
1885
4월 1일, 아이오와주 벌링턴의 오페라 하우스
빈곤은 사회의 범죄
The Crime of Poverty
 
1887
5월 8일, 뉴욕의 음악원
도둑질하지 말라
Thou Shalt Not Steal
 
1889
4월 28일, 스코틀랜드의 글래스고 시청
나라가 임하시오며
Thy Kingdom Come
 
7월 11일, 아일랜드 데리 카운티의 소도시 툼브리지
토지를 국민에게
The Land for the People
 
1890
2월 4일, 샌프란시스코의 메트로폴리탄 홀
정의는 목적, 과세는 수단
Justice the Object-Taxation the Means
 
헨리 조지 연보
 
부록: 오늘의 한국과 헨리 조지 사상
[부록 1] 시장친화적 토지공개념과 그 도입 전략
[부록 2] 지공주의(地公主義): 화합과 평화의 길
[부록 3] 토지사유제 개혁, 국민이 지지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