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단의 장기화로 북한 사회를 객관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본정보조차 확보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최근 급증하고 있는 새터민들은 북한에 대한 중요한 정보 제공자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그 수가 2만여 명에 달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존재조차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이 책은 가깝고도 먼 우리의 이웃을 이해하고, 우리가 직접 경험하지 못하는 북한 사회에 대한 이야기를 새터민들의 경험을 통해 그려내며, 그들이 생각하는 통일 문제를 함께 나누고자 한 결과물이다. 총 3부로 구성된 이 책 제1부는 새터민의 존재에 대한 개괄이라 할 수 있으며, 제2부는 새터민들의 경험을 통해 복원된 북한 사회의 모습을 정치, 경제, 사회 및 문화 분야로 나누어 소개한 것이다. 마지막 제3부는 저자의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새터민들이 인식하는 남북한 통일 문제를 다룬 것이다. 이 책이 새터민과 북한 연구를 촉진하는 조그만 디딤돌 역할을 수행하기를 기대해 본다.

김 영 하
경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정치학 학사). 경북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석사과정 졸업(정치학 석사). 경북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박사과정 졸업(정치학 박사).
경북대학교·대구교육대학교·금오동과대학교·대구가톨릭대학교·울산대학교·경북전문대학 시간강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통일 교육위원
저서: (공저)새로운 북한 이해(경북대학교출판부, 2003)
(공저)교대생을 위한 북한과 통일 이해(도서출판 청림, 2002)
(공저)현대지방의회론(도서출판 청림, 2001)

제1부 새터민에 대한 이해
제1장 새터민의 의의
제2장 새터민의 남한 사회 정착 생활상
제2부 새터민을 통해 본 북한 사회
제3장 북한 주민의 정치생활
제4장 북한 주민의 경제생활
제5장 북한 주민의 사회생활
제6장 북한 주민의 문화생활
제3부 새터민과 남북한 통일 문제
제7장 새터민과 통일 문제
제8장 새터민의 통일 문제에 대한 인식
제9장 다시 새터민을 생각하며: 새터민과 함께하는 통일 교육 프로그램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