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족의 통일은 정부의 정책적 노력만으로 결코 성취될 수 없다. 통일은 민간의 만남과 교류가 전제된 장기적 과업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통일 관련 NGO의 역할이 중요하며 이 책은 그에 대한 연구 결과의 집대성이라 할 수 있다. 제1장 <한국의 통일 NGO 개관>에서 통일 관련 NGO들을 대략적으로 개관한 다음 제2장 <통일 NGO의 운동론>에서는 통일운동 단체의 간행물, 각종 대회 선언문, 성명서 등 1차 자료를 바탕으로 통일운동의 성격을 분석하고 해방 이후 오늘날까지 통일운동의 전개 과정, 통일 NGO 연대 조직의 목적과 성격, 사업 방향을 점검한다. 제3장 <통일 NGO의 조직론>에서는 통일 NGO의 조직 현황과 인적・물적 자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조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한다. 제4장 <통일 NGO의 활동론>에서는 통일 NGO의 활동을 사업 추진 방식과 우선순위 등을 중심으로 분류하고 그들이 통일 환경 조성을 위해 실시한 활동과 실적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제5장 <통일 NGO의 역할론>에서는 통일 NGO의 활동과 역할을 평가하고 바람직한 역할 모델을 제시한다. 우리나라에 통일 NGO에 관한 전문 학술서가 부족한 현실에서 이 책은 관련 분야 연구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제1장 한국의 통일 NGO 개관
제2장 통일 NGO의 운동론
제3장 통일 NGO의 조직론
제4장 통일 NGO의 활동론
제5장 통일 NGO의 역할론
부록
1. 통일 관련 법제
2. 남북 관계 합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