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경제사
    오카모토 다카시

    29,000 원
    페이지 : 508
    I S B N : 9788971804452
    출판일 : 2016-10-31

*본 책은 절판되었으며 2023년 재판된 중국경제사로 구매 가능합니다.

이 책은 일본 중국학계에서 전후 70여 년 만에 처음 선보인 중국경제통사이다. 세계 어느 나라보다 중국학 연구의 역사와 깊이를 자랑하는 일본학계에서도 쉽게 통사를 쓰지 못할 정도로 중국경제사는 복잡하고 다난하다. 그러나 중국경제의 급속한 부상(浮上)으로 중국경제가 동아시아, 더 나아가 전 세계에 미치는 영향력이 막강해지면서 그 역사적 연원과 형질, 특색에 관해 알고자 하는 사회적 수요는 일찌감치 높아졌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일본학계에서는 46인이나 되는 중국경제사 연구자가 대거 참여하는 형태로 이 난제에 도전하였다. 저자들은 실증주의 학풍을 잃지 않고 시대별로 중요한 사항을 빠짐없이 챙겨 넣으면서도, 일반 독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시대적 맥락을 잃지 않도록 노력하였다. 이를 위해 각 시대 경제의 전반적인 개관을 본문에 전면 배치하고, 각 장 끝에 핵심 주제를 ‘테마’로 설정하여 집중 해설하였다. 총 5장의 시대 개관에 59개에 달하는 테마를 편성해, 독자가 흥미를 갖는 주제에 관해 심화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아울러 책 말미에는 본문과 테마를 서술할 때 어떠한 책과 논문을 참조했는지 독자가 소급해서 찾아낼 수 있도록, 서술에 참고한 문헌목록을 제시했을 뿐 아니라, 각 시대별로 필독서로 추천할 만한 책들을 선별하여 책의 의의와 학술적 성격을 간단하게 정리한 문헌해제를 따로 두었다. 본문은 선사 시대부터 개혁‧개방의 시작까지를 정리했으나, 각 테마의 서술까지 포함하면 이 책은 실질적으로 기원전 3000년경부터 오늘날에 이르는 5000년의 중국경제사를 논술한 대작(大作)이다. 중국경제의 장구한 역사를 꿰뚫어 보고 싶은 한국 독자들에게 중국경제사 입문서이자 더 심화된 연구를 가이드할 지도서로서 그 학술적‧사회적 가치가 크다.


엮은이ㅣ 오카모토 다카시(岡本隆司)
· 1965년 교토 출생
· 미야자키대학 교육학부 강사, 미야자키대학 교육문화학부 조교수를 거쳐 현재 교토부립대학 문학부 교수
· 주요 저서로는 오히라 마사요시(大平正芳) 기념상을 수상한 『근대 중국과 해관(近代中國と海關)』(名古屋大學出版會, 1999), 산토리 학예상을 수상한 『속국과 자주 사이(屬國と自主のあいだ)』(名古屋大學出版會, 2004), 『마건충의 중국 근대(馬建忠の中國近代)』(京都大學學術出版會, 2007), 『중국 반일정서의 원류(中國 「反日」 の源流)』(講談社選書Metier, 2011), 『이홍장(李鴻章)』(岩波新書, 2011), 『근대중국사(近代中國史)』[치쿠마(ちくま)新書, 2013] 등이 있다.


옮긴이ㅣ 강진아
·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 중국근현대사, 동아시아 경제사 전공
· 주요 저서로 『동순태호: 동아시아 화교 자본과 근대 조선』(경북대학교출판부, 2012), 『문명제국에서 국민국가로』(창비, 2009), 『1930년대 중국의 중앙・지방・상인』(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주요 역서로 『다시 보는 동아시아 근대사』(까치, 2011), 『베이징의 애덤 스미스』(길, 2009), 『미완의 기획: 조선의 독립』(소와당, 2009), 『쟁점으로 읽는 중국 근대 경제사』(공역, 푸른역사, 2007), 『소일본주의』(소화, 2002) 등이 있다.


한국어판 출간에 부쳐
일러두기 / 서(序)를 대신하여
 

서장 중국의 경제와 역사
         1. 중국과 “경제사”
         2. 무대의 설정 - 중원(中原)과 강남(江南)
         3. 장면의 구성 – 인구·취락·계층
 
테마 1.황토(黃土) / 2.수리(水利)·치수(治水)/ 3.농업기술 / 4.조운(漕運)/ 5.구황(救荒) / 6.마정(馬政) / 7.유목 국가의 계절 이동
 
 
제1장 선사 시대 ~ 진한(秦漢)
          고대 제국의 형성과 분해(3세기까지)
          1. 문명의 탄생과 왕권의 형성(기원전 2000년대까지)
          2. 읍제국가(邑制國家)의 통합(기원전 17세기~기원전 5세기)
          3. 중국 본토의 형성과 확대(기원전 4세기~기원전 1세기)
          4. 제국 확대의 정체와 지방분립으로(기원전 1세기~기원후 3세기)
 
테마 8.호적(戸籍) / 9.도량형의 통일과 그 전개 / 10.요역[徭役, 한(漢) 이전] / 11.소금과 철[鹽鐵] / 12.화폐[貨幣, 한(漢) 이전] / 13.균수(均輸)·평준(平準) / 14.화식열전(貨殖列傳), 평준서(平準書)와 식화지(食貨志)
 
 
제2장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 수당오대(隋唐五代)
          남북분립(南北分立)에서 남북분업(南北分業)으로(3~10세기)
          1. 고대 제국의 붕괴와 강남 경제의 성립[위진(魏晉)~남조(南朝)]
          2. 남북경제의 재결합[오호북조(五胡北朝)~당(唐) 전기]
          3. “남북분업(南北分業)”의 형성[당(唐) 중기~오대(五代)]
 
테마 15.호족(豪族)과 귀족(貴族) / 16.강남 개발과 경제발전 / 17.전제(田制) / 18.당(唐)의 회계 / 19.상평(常平) / 20.화적(和糴) / 21.양세법(兩稅法) / 22.소그드 상인과 동서교역
 
 
제3장 송·요·금(宋·遼·金) ~ 원(元)
          북방의 충격과 경제 중심의 남천(10~14세기)
          1. 다국 체제와 경제 사회의 새로운 전개- 거란[契丹, 요(遼)], 북송(北宋)(10~12세기)
          2. 가속화하는 경제 중심의 남천(南遷)-금, 남송(12~13세기)
          3. 유라시아 통합 속의 중국경제-몽골 시대(13~14세기)
 
테마 23.동전[銅錢,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청(淸)] / 24.염정[鹽政, 당(唐)~원(元)] / 25.전호(佃戶) / 26.신법(新法) / 27.지폐(紙幣) / 28.투하령(投下領) / 29.몽골 시대의 동서교역
 
 
제4장 명(明)과 청(淸)
          전통경제의 형성과 변천(15~19세기)
          1. 명 왕조가 설계한 제도(14~15세기)
          2. 전환의 시대(15~16세기)
          3. 명과 청의 교체(16~17세기)
          4. “성세(盛世)”(18세기)
          5. 서양 근대와의 대치(19세기)
 
테마 30.염정[鹽政, 명(明) 이후] / 31.산서상인(山西商人)과 휘주상인(徽州商人) / 32.행회[行會, 행(行)] / 33.은과 동전의 이중화폐제[銀二貨制] / 34.세(稅)와 역(役)으로 본 중국의 국가와 사회 / 35.지정은(地丁銀) / 36.해금(海禁)과 조공(朝貢) / 37.호시(互市) / 38.관세(關稅)와 해관(海關)/ 39.이금(釐金) / 40.매판(買辦)/ 41.국산 아편/ 42.아편 금지운동과 국제 문제/ 43.이민(移民)과 화교(華僑)/ 44.만주의 경제개발
 
 
제5장 근현대
          국민국가 형성의 시도와 경제발전(20세기~현대)
          1. 청 말의 근대화(20세기 초~1911년)
          2. 중화민국의 성립(1912~1928년)
          3. 국민정부의 통합(1928~1949년)
          4. 사회주의 체제의 형성(1949~1956년)
          5. 중국 모델 사회주의의 귀결(1956~1978년)
 
테마 45.금융 / 46.근대적 기업 / 47.경제통계 / 48.절강재벌(浙江財閥) / 49.자원위원회(資源委員會)와 전시 동원 / 50.토지개혁 / 51.중공업 / 52.인민공사(人民公社) / 53.삼선건설(三線建設) / 54.오소공업(五小工業) / 55.향진기업(鄕鎭企業) / 56.여성의 교육과 취로 / 57.홍콩 / 58.대만의 경제개발5 / 59. 중일 경제관계 100년
 
 
문헌목록 / 문헌해제 / 테마 일람 / 도표 일람 / 색인 / 집필자 소개 / 역자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