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사학개론』은 인간의 역사와 동시에 발생하고 발전해 오늘날에 이른 의학의 변천을 개괄하는 책으로, 의사학이라는 특색 있는 학문 분과의 입문서로 볼 수 있다. 이 책에서 구별하고 있는 대로 고대, 중세, 르네상스, 17세기, 18세기, 19세기, 20세기, 그리고 마침내 현대까지 의학의 역사를 살펴봄으로써 인간의 역사를 색다른 각도에서 조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저자가 역설하고 있듯, 의사학에 대한 이해는 의학 자체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바탕을 제공할 것이다. 인간의 삶은 생로병사의 과정이며, 의학은 인간의 필요에 의해 그에 관여하면서 발달해 왔다. 『의사학개론』을 통해 의학 내부에서 일어난 획기적인 발견뿐만 아니라 인간 문명에 전반에 일어난 크고 작은 사건들과 의학의 변화가 상호 영향관계에 있음을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제1장 고대 의학
제1절–고대 원시 의학의 본질
제2절–선사시대
제2절–선사시대
제3절–이집트 의학
제4절–바빌로니아 및 메소포타미아 의학
제5절–인도 의학
제6절–중국 의학
제7절–한국 의학
제8절–일본 의학
제9절–그리스 의학
제10절–로마 의학
제2장 중세 의학
제1절–비잔틴 시대 의학
제2절–아라비아 의학
제3절–서구 의학
제4절–인도 의학
제5절–중국 의학: 수・당・송・금・원대 의학
제6절–한국 의학: 통일신라와 고려 시대 의학
제7절–일본 의학
제3장 르네상스 시대 의학
제1절–해부학의 확립과 발전
제2절–혈액 순환의 원리 발견
제3절–임상의학의 혁신
제4절–중국 의학: 명대 의학
제5절–일본 의학: 요시노·무로마치 시대 의학
제6절–한국 의학: 조선 전기 의학
제4장 17세기 의학
제1절–의리학파
제2절–의화학파
제3절–불가시 세계로의 출발
제4절–새롭게 발족한 과학으로서의 임상의학
제5장 18세기 의학
제1절–생리학의 근대적 수립
제2절–병리학의 근대적 발전
제3절–임상의학의 발달과 종두법
제4절–일본 의학: 에도 시대 의학
제3절–임상의학의 발달과 종두법
제4절–일본 의학: 에도 시대 의학
제5절–중국 의학: 청대 의학
제6절–한국 의학: 조선 후기 의학
제6장 19세기 의학
제1절–프랑스 의학
제2절–독일 의학
제3절–세포병리학의 수립
제4절–미생물학의 발전
제5절–예방의학의 발달
제6절–임상의학 분야의 진보
제7절–러시아 의학과 미국 의학
제8절–중국 의학: 중화민국 시대 의학
제9절–일본 의학: 에도 말기에서 메이지 중기 의학
제10절–한국 의학: 조선 말기와 일제하의 의학
제7장 20세기 의학
제1절–미생물학 분야
제2절–면역혈청학 분야
제3절–생화학・생리학 분야
제4절–병리학 분야
제5절–일반의학
제6절–한국 근대 의학
제8장 현대 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