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역 영남루시운
    남권희·전재동

    29,000 원
    페이지 : 455
    I S B N : 9788971804810
    출판일 : 2018-02-28

영남루는 굳이 조선의 4대 누각이라는 찬사를 더하지 않더라도, 여름에 한번 올라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가 그 시원함과 탁 트인 조망에 감탄을 금하지 못할 것이다. 지금은 아파트와 고층 건물에 막혀 멀리 재약산과 천황산이 잘 보이지 않지만, 그래도 콘크리트 사이로 드문드문 보이는 먼 봉우리들은 마치 언제라도 밀양을 포근하게 감싸고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이러한 주변 경관 덕분에 예전부터 영남루는 시인 묵객들의 발자취가 끊이질 않았다. 어떤 연구자에 따르면, 영남루 관련 시를 수록한 자료를 다 모으면 어림잡아 1천여 수가 넘는 시를 발굴할 수 있을 것이라 하였다. 고려 시대의 시인 성원도(成元度)가 지은 천자운(天字韻) 칠언율시는 물론 도원흥(都元興)의 칠언율시는 미국 버클리대학 동아시아 도서관(C. V. Starr East Asian Librar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에 소장된 『나려칠률(羅麗七律)』에도 수록될 정도로 인구에 회자되었던 작품이다.
하지만 영남루에 올라 감흥을 노래한 시들은 대부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같은 관찬 지리서나 『밀양읍지(密陽邑誌)』 등의 읍지류, 『밀주승람(密州勝覽)』 등의 개인 기록 등에 그 일부가 전할 따름이었다. 이번에 발굴된 『영남루시운(嶺南樓詩韻)』은 임진왜란1592년 이전에 창작된 영남루 관련 시문 570편을 수록한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영남루시운』은 비록 필사본이지만, 자료의 희소성 및 수록 내용의 독창성으로 인해 향후 학계의 연구가 절실하게 요구된다.


옮긴이
남권희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전재동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BK21플러스사업팀 연구원


제1장 영남루嶺南樓 본당
○ 기문記文
    김주金湊 영남루기嶺南樓記
    신광한申光漢 영남루중창기嶺南樓重創記
○ 상량문上樑文
    청도군수淸道郡守 안주安宙 영남루중수상량문嶺南樓重修上梁文
    회산檜山 구유온仇有溫 영남루중수상량문嶺南樓重修上梁文
○ 서문序文
    성원도成元度 서序
○ 제영시題詠詩
    제천자운題天字韻
    별용루자운別用樓字韻
    용타운用他韻
    용타운用他韻
    용한자운用閑字韻
    희우가喜雨歌 용양자운用陽字
    용횡자운用橫字韻
○ 차운시次韻詩
    관찰사觀察使 박소립朴素立
    차루자운次樓字韻
○ 장편시
    임춘林椿
    서거정徐居正
    기타
    우제일절又題一絶
    제추자이십운題秋字二十韻
    하중수영남루賀重修嶺南樓

제2장 능파당凌波堂
○ 기문記文
    신광한申光漢 능파당중창기凌波堂重創記
○ 제영시題詠詩
    용두자운用頭字韻
    용성자운用聲字韻
    용시자운用詩字韻
    용영자운用迎字韻
    용진자운用眞字韻
    용응자운用凝字韻
    우용한자운又用寒字韻
    우용림자운又用林字韻
    용가자운用歌字韻
    용추자운用秋字韻
○ 차운시次韻詩
    차시자운次詩字韻
    차진자운次眞字韻
    차시자운次詩字韻

제3장 침류당枕流堂
○ 기문 記文
    박세후 침류당기문枕流堂記文
○ 제영시題詠詩
    용상자운用霜字韻
    용비자운用飛字韻
    용수자운用收字韻
    용천자운用天字韻
    용수자운用收字韻

제4장 객사客舍 동헌東軒 
○ 제영시題詠詩
    용루자운用樓字韻 용회자운用廻字韻
    제정자선題亭子�
    용타운用他韻
    차거자운次居字韻

제5장 덕민정德民亭
○ 기문記文
   권람權擥 수산현덕민정기守山縣德民亭記
   권람權擥 지誌
   권반權攀 덕민정德民亭
○ 제영시題詠詩
   제현정題縣亭

제6장 남수정攬秀亭 
○ 기문記文
   주세붕周世鵬 남수정기攬秀亭記
○ 제영시題詠詩
   제평자운題平字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