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의 출판문화는 전 세계에서 유래를 찾기 힘들 정도로 그 역사나 현존하는 유물 등에서 우수성과 독창성을 인정받고 있다. 특히 활자의 경우 손쉽게 만들 수 있는 목활자, 토활자를 비롯하여, 비록 만드는 과정이 복잡하고 초기 비용이 많이 드나 오랫동안 사용·보관이 가능한 금속활자 등이 그 용도에 맞게 제작되고 사용되었다. 뿐만 아니라 활자는 중앙정부와 지방 관청 및 문중과 서원, 사찰, 개인에 이르기까지 수요나 목적에 따라 그 수량, 서체, 크기, 한글자 등의 측면에서 다양하게 주조되어 지식과 정보의 유통은 물론 축적에 이르기까지 전통시대의 학술을 진흥시키는 최고의 매체가 되었다. 이러한 한국의 금속활자 인쇄문화에 대하여 본 책에서는 인문학적 방법은 물론 자연과학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여러 가지 방향으로 접근하였고, 또한 그간에 새롭게 알려진 자료나 기록과 함께 기존에 알려져 있었으나 제대로 검토되지 않았던 자료를 재조명하여 고려시대(제1권)와 조선시대(제2권)로 나누어 한국 금속활자 인쇄문화를 분석하였다. 제2권 ‘조선시대’ 편에서는 조선시대의 금속활자와 목활자에 대한 인쇄문화를 검토하였다. 현재 전하고 있는 인본을 검토하기에 앞서 조선시대에 서책을 찍어 내고 배포하던 鑄字所와 校書館의 변천을 통해 중앙기관의 출판활동을 살펴보았다. 또한 문헌 기록과 실물자료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금속활자의 형태, 주조, 조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한편 조선시대에 간행된 활자본을 금속활자, 한글 금속활자, 목활자 인본으로 세분하여 각 활자와 인본의 문헌기록과 함께 인본 리스트 및 이미지를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조선시대 금속활자 인쇄문화를 살펴봄으로써, 조선이 개국과 함께 통치의 기본 이념으로 성리학 기반의 제도와 국가 운영의 정책을 전개함에 있어서 소통과 통섭의 차원에서 중요한 매체와 방법으로 활자 인쇄술을 활용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권희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교수(서지학 전공)

서문
제1장 총설
제1절 조선시대의 금속활자 인쇄술
제2절 조선시대의 목활자 인쇄
제2장 鑄字所와 校書館
제1절 鑄字所
제2절 『鑄字所應行節目』
제3절 鑄字所 關聯 扁額
제4절 校書館
제3장 朝鮮時代 金屬活字 鑄造와 組版에 관한 硏究
제1절 고려시대 기록
제2절 조선 초기의 금속활자
제3절 한국 금속활자의 형태
제4절 朝鮮前期 金屬活字 印刷와 組版 方法
제5절 顯宗實錄字의 鑄造 및 組版 관련 기록
제4장 朝鮮時代 活字와 그 印本
제1절 금속활자와 그 인본
제2절 한글 금속활자
제3절 목활자와 그 인본
제5장 결론
제1절 조선시대 활자 인쇄술의 발달과 지식정보의 소통 개괄
제2절 1930년대 동아일보 金瑗根의 「조선주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