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동 간재 이덕홍 종가
    권진호

    17,000 원
    페이지 : 197
    I S B N : 9788971805008
    출판일 : 2018-11-12

간재 이덕홍은 19세에 퇴계 문하에 들어가 12년간 퇴계 이황을 지근거리에서 모시면서 학문지결을 터득하였다. 그의 학문에 대한 독실한 자세는 스승뿐만 아니라 동문들에게도 인정을 받았다. 그래서 퇴계는 그에게 선기옥형璿璣玉衡을 만들게 하였다. 한편 38세(1578년)에 출사하여 선조 임금과 왕세자인 광해군에게 올린 두 편의 상소에는 그의 현실인식에 따른 전란 극복 방안이 고스란히 담겨 있으며, 영춘현감 시절에는 살아남으려고 허덕이는 민초들의 삶에 대한 그의 애민의식의 일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임진왜란 때 건의한 귀갑선의 건조는 군사전술적인 계책 가운데서도 가장 주목되었다. 한마디로 그가 추구한 학문은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을 뿐만 아니라 병략兵略·산학算學·역법曆法에도 정통하였다. 퇴계 이황이 자字와 호號, 그리고 이름을 지어 준 유일한 제자였다.


지은이
권진호(權鎭浩)
경상북도 안동에서 태어나 안동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문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국학진흥원 연구부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조선 후기 지식인의 문학사상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역서로는 『19세기 영남학파의 종장, 정재 류치명의 삶과 학문』(저서), 『국역 상변통고(10권)』(공역), 『국역 가례증해(6권)』(공역)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한강 정구의 정주학 수용양상」, 「영남학파의 주자가례 수용양상」 등이 있다.


축간사
지은이의 말

1 종가의 입지조건과 자연배경
1 ‘영주 제일향第一鄕’, 외내 마을
2 가학연원과 가풍적 특징

2 간재 이덕홍의 삶과 생각
1 스승 퇴계 이황을 만나다
2전란 극복 방안을 제시하다
3빛나는 학문적 업적을 남기다
4 스승의 언행과 동정을 기록하다 ― 『계산기선록溪山記善錄』
5계문溪門의 고제高弟가 되다


3 간재 이덕홍의 후손들
1 선오당 이시와 5형제들
2 영천이씨 후예들


4 간재종가의 문한과 유교경관

1 종가의 고문헌과 목판 2 종가의 유교경관


5 간재종가의 제례문화

1 불천위 제례
2 오계서원 향사

6 종손의 삶과 생각

1 종가를 유지해 오다
2 종손, 다음을 준비하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