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채보상운동은 1907년 대구에서 시작된 대한민국 최초의 민간 주도 경제 자주권 회복운동이며, 서상돈(徐相敦)과 김광제(金光濟)의 발의로 일어난 ‘나랏빚 갚기 운동’이다. 이 운동에는 남녀노소, 빈부귀천을 막론하고 전국 각지의 국민들과 해외 동포들이 참여했으며, 남자들은 담배를 끊고 여자들은 패물을 처분하여 의연금을 냈다. 비록 이 운동은 일제의 탄압으로 성공을 거두진 못했으나, 그 정신은 해방 이후에도 계속 이어져 IMF 외환위기 때 전 세계를 놀라게 한 ‘금 모으기 국민운동’으로 되살아났다. 국채보상운동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시민적 경제독립운동이었지만 의무 혹은 책임 개념으로 기부운동의 형태를 띠었기에 국민적 기부운동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주민자치의 형태로 진행되었기에 한국 최초의 주민자치운동이었다. 셋째, 여성들이 참여하였으므로 한국 근대여성운동의 시작이라 할 수 있으며, 학생들이 참여하였기에 최초의 학생운동이기도 하다. 넷째, 국민적 금주·금연운동의 효시가 됨은 재론할 필요도 없다. 무엇보다도 사회지도층이 아닌 일반 국민들이 사회적 책임을 다한 운동이란 점에서 그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2017년, 유네스코는 국채보상운동의 이러한 가치와 세계사적 독자성을 인정하여 그 기록물을 세계기록유산(MOW)으로 선정하였다.

엄창옥
경북대학교 경상대학 경제통상학부 교수
경제발전론 전공
남권희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교수
서지학 전공
전재동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BK21+팀 박사후연구원(POST-DOC)
경북대학교 문학박사(2008), 문헌정보학박사(2018)
이정호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교수
건축설계, 근·현대 건축사 전공

간행에 부쳐
머리말
제1부 국채보상운동의 역사와 그 현대적 의미
제1장 국권회복운동의 발단
1. 19세기 말 동북아 정세와 한반도의 국권회복운동
2. 개항 이후 외채의 누적과 국민적 저항
3. 차관망국론에서 본 국권회복운동
제2장 국채보상운동의 역사와 그 의의
1. 국채보상운동의 발단
2. 국채보상운동의 확산
3. 국채보상운동의 전모와 미완의 종결
제3장 국채보상운동의 의의와 현대적 재해석
1. 국채보상운동의 의의
2. 국채보상운동이 세계사에 미친 영향
3. 국채보상운동의 현대적 재해석
제2부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의 유형과 그 자료
제4장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과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1. 국채보상운동의 의의
2. 세계기록유산의 지정
제5장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의 현황과 분류
1. 시기별 주요 자료 현황
2.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의 분류
3.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의 실제
제6장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주요 자료 해제
1. 성책류(成冊類)
2. 문서류
제3부 국채보상운동 아카이빙과 라키비움
제7장 국채보상운동과 대구북후정 복원 계획
1. 국채보상운동과 북후정
2. 북후정 복원 기본구상
3. 북후정 복원 모델링
제8장 국채보상운동 관련 기록물과 시설물 아카이빙
1. 기록물 디지털화를 통한 아카이빙
2. 국채보상운동 기념 조형물과 건축물
3. 국채보상운동의 공간 재구성과 네트워킹
제9장 국채보상운동의 세계화를 위한 라키비움 구상
1. 국채보상운동 라키비움 건립의 기본 개념
2.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에 조성되는 라키비움 구상
3. 유네스코에 제시한 국채보상운동 아카이브 리플릿
4. 세계적인 라키비움 둘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