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심만 뽑아 읽는 경세제민학
    헨리 조지

    17,000 원
    페이지 : 277쪽
    I S B N : 9788971806166
    출판일 : 2023-06-20

헨리 조지는 19세기 미국의 토지개혁가, 저술가, 언론인이다. 40세 되던 해에 『진보와 빈곤』을 세상에 내놓으면서 단숨에 세계적 명사가 됐고, 그 후에도 평생을 토지제도 개혁을 위해 헌신했다. 1891년에는 당시의 경제학을 비판하면서 자신의 사상을 경제학 체계에 맞추어 서술하는 작업을 시작했는데 그 결과가 바로 이 책의 원저인 Political Economy이다. 역자가 번역의 저본으로 삼은 책은 미국 헨리 조지 연구소의 린디 데이비스 소장이 원저의 핵심만을 발췌하여 2004년에 출판한 축약본이다. 이 책에 담긴 헨리 조지의 경제사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치경제학은 개별 경제주체가 아닌 사회 전체의 관점에서 부의 생산과 분배에 관한 자연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자연법에 따르면 인간이 생산하지 않은 토지와 토지가치는 사적 소유 대상이 아니며, 이 자연법을 어기면 부당한 빈부격차가 발생하고 문명이 쇠퇴한다.” 이 책은 원저의 축약본이지만 그래도 본문을 읽기 전에 빨리 헨리 조지의 경제사상을 파악하고 싶은 독자를 위해 핵심 문장을 뽑아 목차 바로 다음에 배치했고, 화폐론 부분도 번역하여 보론으로 배치해 두었다. 아울러 원저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원저의 저자 서문, 출판 경위, 원저와 축약번역본의 구성을 비교하는 표를 부록으로 실어 두었다.


지은이
헨리 조지

헨리 조지(Henry George, 1839~1897)는 미국의 토지개혁가, 저술가, 언론인. 사회가 발전해도 빈곤이 사라지지 않는 문제를 깊이 연구한 결과, 천부된 토지의 사적 소유를 인정하는 제도에 원인이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해결 방안으로는 토지가치 즉 지대를 조세로 징수하는 지대조세제(land value taxation)를 제시하였다. 헨리 조지의 토지 사상은 19세기 후반에 국제적으로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그의 대표작『진보와 빈곤』(Progress and Poverty, 1879)은 당시 성경 다음으로 많이 보급된 책이라고 평가받을 정도였다. 『진보와 빈곤』 외에도 『사회문제의 경제학』(Social Problems, 1883), 『노동 빈곤과 토지 정의』(The Condition of Labor, 1891) 등 수많은 저서와 강연, 기사를 남겼다.


옮긴이
김윤상

서울대학교 법과대학과 환경대학원,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도시계획학 박사)를 졸업하였다. 공군 중위로 전역한 1976년부터 40년 넘게 경북대학교 행정학부 교수 및 석좌교수로 재직한 후, 지금은 자유업 학자로 활동하고 있다. 토지사유제, 서울중심주의, 학벌주의 등 특권적·차별적 사회 현상에 주목하면서 특히 토지 불로소득으로 인한 불평등 문제를 깊이 연구해 왔다. 최근에는 평생의 연구를 바탕으로 ‘좌도우기’, ‘특권 없는 세상’을 제시하면서 화합과 평화를 추구하고 있다. 좌도우기(左道右器)란 좌파가 추구하는 평등과 복지를 우파가 존중하는 자유와 시장경제를 통해 달성한다는 뜻이다. 주요 저서로는 『이상사회를 찾아서: 좌도우기의 길』(2017), 『특권 없는 세상: 헨리 조지 사상의 새로운 해석』(2013), 『지공주의: 새로운 토지 패러다임』(2009) 등이 있고, 역서로는 『진보와 빈곤』(1997, 2016 개역), 『노동 빈곤과 토지 정의』(2012), 『국토는 국민 모두의 것입니다』(2022) 등이 있다.


머리말
이 책의 핵심 문장 맛보기

총론: 이 책을 쓰는 이유


제1장 인간과 문명

  1. 인간과 세계
  2. 더 거대한 리바이어던
  3. 문명의 의미
  4. 문명의 기원
  5. 지식과 기량

제2장 정치경제학이란?
  1. 자연법
  2. 학문과 자연법
  3. 정치경제학의 의의와 범위
  4.  정치경제학의 연구 대상과 기본 법칙
  5.  정치경제학 연구 방법
  6. 학문인가, 기술인가?

제3장 정치경제학의 발전과 붕괴
  1. 부의 의미에 관한 혼동
  2. 혼동의 원인
  3. 정치경제학의 발생
  4. 정치경제학의 변천 Ⅰ
  5. 정치경제학의 변천 Ⅱ
  6. 정치경제학의 붕괴

제4장 부의 본질
  1. 사용가치와 교환가치
  2. 정치경제학의 부
  3. 부와 서비스
  4. 부와 자본
  5. 부와 도덕
  6. 부의 존속 기간

제5장 부의 생산
  1. 생산의 세 가지 방식
  2. ‘수확 체감의 법칙’의 문제점
  3. 공간과 시간
  4. 협업과 분업
  5. 지시된 협동과 자발적 협동
  6. 교환과 경쟁
  7. 생산의 3요소

제6장 부의 분배
  1. 분배의 의미
  2. 분배의 본질
  3. 물리 법칙과 도덕 법칙
  4. 재산권의 근거
  5. 재산권에 관한 혼동과 그 원인

보론    화폐에 관한 헨리 조지의 견해
  1. 화폐에 관한 혼동
  2. 화폐에 대한 상식적 이해
  3. 교환의 매개물, 가치의 척도
  4. 신용의 역 화폐의 변천
  5. 6. 실물화폐와 신용화폐
  6.  

부록
  1. 저자 서문
  2. 출판 경위
  3. 원저와 축약 번역본의 구성 비교
  4. 헨리 조지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