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탈경계의 문학
    박용찬

    17,000 원
    페이지 : 472
    I S B N : 978-89-7180-648-7
    출판일 : 2025-01-31

이 책은 개화기부터 1950년대까지 경계를 넘어서고자 했던 작가들의 문학적 실험과 그 당시 사회와 문화에 저항하고자 했던 작가들의 글쓰기와 실천적 행위를 다루고 있다. ‘한국 현대문학의 위반과 도전이라는 부제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이 책은 한국 현대문학의 장()에 가해진 세계의 횡포에 작가들이 어떻게 대응하고 나름의 문학적 성취를 이룩해 나갔는지를 규명한다.
이 책은 크게 세 개의 부로 나뉜다. 1부에서는 검열과 경계란 제하(題下)에 해방을 전후한 일제 말기, 해방기, 한국전쟁기의 텍스트를 대상으로 탈경계의 지점을 조망해 보고자 하였다. 여기서 일제 말기 지식인들의 순응과 굴절, 저항과 자기비판의 지점을 넘어 해방 직후 작가들의 가족 충동 양상까지 살펴보았다. 또한 해방기와 한국전쟁기의 국어교재에 개입된 국가주의 시선을 중심으로 동일자와 타자의 길항 관계를 주목하였다. 2부는 모색과 도전이란 제하에 탈경계의 지점에서 작가들이 행한 고투의 제 행적과 그 문학적 성취에 대해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인직(李人稙), 임화(林和), 이상정(李相定)을 비롯하여 조선문학가동맹에 소속된 작가들을 통해 낯선 길 위에 선 이들의 현실대응 방식과 그들이 나아간 길이 정신사 내지 문학사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규명해 보았다. 3부는 정착과 지향이란 제하에 탈경계의 지점에서 도전을 멈추지 않았던 제 작가들과 그들의 행적을 바탕으로 전개된 한국 현대문학과 현대문학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특히 이육사 시가 수록된 시선집을 횡단하면서 이육사 시의 정전화 과정과 이육사 시의 국어교재 정착 과정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박용찬 朴容賛, Park Yong-chan

신라 왕릉이 줄지어 있는 선도산 자락, 경주에서 태어났다. 경북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해방기 시의 현실인식과 창작방법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매체, 정전, 검열, 지역문학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해방기 시의 현실인식과 논리, 한국 현대시의 정전과 매체, 대구경북 근대문학과 매체, 한국근대문학 해제집(공저), 영영장판과 영남의 출판문화(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이용악 시의 공간적 특성 연구, 이상화 문학과 장소성의 문제, 재전당서포와 광문사의 출판활동, 대구의 문학 장 형성과 우현서루, 이육사 시의 정전화 과정과 특징 연구 등이 있다. 국어교육학회 회장과 한국어문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책머리에

 

1부 검열과 경계

1장 현대시 텍스트의 경계와 검열

1. 정전, 정전화

2. 정전의 선택과 배제: 우리 오빠와 화로나막신의 경우

3. 검열기제의 작동과 복권의 과정: 오랑캐꽃의 경우

4. 맺음말 

2장 일제 말기 시의 굴종과 자기비판

1. 친일문학 문제

2. 친일시의 생성 배경

3. 친일시의 양상과 서정 장르의 특성

4. 자기비판의 언술과 시들

5. 맺음말

3장 해방기 시에 나타난 억압과 가족 충동

1. 가족과 한국 현대문학

2. 근원에 대한 욕망으로 호명되는 가족

3. 싸움의 전기(轉機)로 인식되는 가족

4. 맺음말

4장 한국전쟁 직전 문학 텍스트와 국가주의 시선

1. 국어교재와 문학 텍스트

2. 미군정기 국어교재의 문학 텍스트 양상과 구성담론

3. 정부 수립기 국어교재의 텍스트 배치와 일민주의

4. 맺음말

 

2부 모색과 도전

5장 이인직의 시대인식과 현실대응

1. 시대 앞에 선 작가

2. 개화기의 지식인 이인직

3. 이인직의 시대인식과 현실대응 양상

4. 맺음말

6장 임화의 프로문학 선택과 단편서사시

1. 임화를 향한 항해

2. 임화의 독서 체험과 내면 모습

3. 카프에의 투신과 창작 방법 문제

4. 맺음말

7장 중국 망명 전 이상정의 삶과 문화투쟁

1. 이상정 바라보기

2. 자필이력서와 일본 유학 시기 고증

3. 교육, 미술, 문학을 통한 문화투쟁

4. 용진단 결성과 사회투쟁

5. 맺음말

8장 미군정기 조선문학가동맹의 매체투쟁

1. 조선문학가동맹에 대해

2. 미군정기의 출판 상황과 검열

3. 조선문학가동맹의 매체투쟁과 미디어 전략

4. 맺음말

9장 정부 수립 전후 시에 나타난 이상과 현실

1. 리얼리즘 논의의 기초

2. 외적 현실과 시적 주체의 대응

3. 이상의 실현 의지와 전망의 극대화

4. 맺음말

 

3부 정착과 지향

10장 최초의 근대시선집 조선시인선집의 탄생

1. 선집, 사화집, 앤솔러지

2. 조선통신중학관과 백기만

3. 조선통신중학관과 신지식

4. 근대시의 정전화 작업과 조선시인선집

5. 맺음말

11장 이육사 시의 정전화 과정

1. 이육사의 글쓰기

2. 이육사 시의 정전화 과정

3. 정전화 과정의 특징

4. 맺음말

12장 이육사 시의 국어교재 정착과 수용

1. 이육사와 문학교실

2. 이육사 시의 국어교재 정착

3. 교수·학습 방식과 수용의 문제

4. 맺음말

13장 한국 현대문학교육의 도정(道程)과 방향

1. 현대문학교육의 제 문제

2. 현대문학교육의 도정

3. 현대문학교육의 방향

4. 맺음말

14장 세대 갈등과 문학교육의 전략

1. 우리 사회의 세대 갈등

2. 국어교재 속의 세대 갈등 노정(露呈)과 해결 방식

3. 세대 갈등 해결을 위한 문학교육의 전략

4.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