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고운 문학 정신의 현상과 계승
    이구의

    29,000 원
    페이지 : 515
    I S B N : 978-89-7180-650-0
    출판일 : 2025-01-31

이 책은 평생을 최치원 연구에 몰두해 온 저자가 그간의 연구를 집대성하여 최치원의 문학 전체를 문명사적 입장에서 조망한 책이다. 이 책의 내용은 크게 3부로 나뉘어 있다. 1최고운 문학 정신의 현상에서는 지금까지 연구된 바 없는 최고운 작품을 통하여 그의 지향이 무엇인가를 논의하였다. 2최고운 문학 정신의 계승에서는 크게 7장으로 나누어 최고운의 문학 정신이 현재까지 어떤 모습으로 계승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3부는 부록으로, 최고운이 살았던 남북국 시대에 북쪽의 발해 시인들의 시와 시 가운데 나타난 시정신(詩精神)을 논의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가 최치원의 시와 문장에 대한 미시적 분석에 치중해 있었다면, 이 책은 그동안 연구된 바 없는, 최치원의 시문 안에 숨어 있는 작가 정신 또는 자아(自我)의 정신적 지향(志向)이 무엇인지를 깊이 있게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저자가 최치원의 문학 창작 현장과 유적을 직접 찾아다니며 그의 문학 정신이 오늘날까지 어떻게 계승되고 발전해 왔는지를 현장감 있게 고찰하였다는 점도 이 책의 큰 특징이다.

 

 

 


이구의 李九義

1958년 경상북도 의성 출생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고려조 한시 연구(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신라 한문학 연구(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최고운 문학 연구(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조선시대 시인과 시정신(4)50권의 단독·공동 저·역서를 출간하였고 14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서문

 

1부 최고운 문학 정신의 현상

1장 다문화 시점에서 본 최고운

1. 외국 유학과 다문화

2. 최고운과 다문화적 삶

3. 열정으로 이룬 대문장가

4. 외로움을 이긴 이상적 관리

5. 친구와 연인을 이별하고 귀국하다

2장 최고운 문학과 시대정신

1. 신분의 제약과 최고운

2. 어려움을 극복한 강한 의지

3. 현실에서의 소외와 학문에 대한 열정

4. 참된 이치를 찾아 자연에 귀의하다

3장 최고운 시문에 나타난 장안

1. 장안이라는 이름

2. 시문에 나타난 장안의 모습

4장 최고운 문학에 나타난 풍류 정신

1. 풍류의 의미와 근거

2. 풍류 정신의 생성

3. 풍류 정신의 발전

4. 풍류 정신의 완성

5장 불교 관련 작품과 지향의식

1. 최고운의 불교 관련 작품

2. 불교 관련 작품에 나타난 지향

 

2부 최고운 문학 정신의 계승

6장 최고운을 통한 인문 자원 활용

1. 인문 정신의 핵심

2. 최고운을 통한 인문 자원 활용 방안

7장 최고운의 의식을 계승한 최해

1. 삶을 통하여 본 동질성

2. 성격상 같은 점과 다른 점

3. 의식을 통하여 본 동질성

8장 최고운 문학의 창작 현장과 유적

1. 문학 창작 현장과 유적

2. 유적의 현황과 문제점

3. 배향 현황과 그 의의

9장 충남 지역의 최고운 문학 창작 현장과 정신

1. 서천의 도충사

2. 보령의 성주산과 보리섬[麥島]

3. 홍성의 장곡면 월계리 용연

4. 서산의 부성사·삼선암·가야산

10장 함양 학사루 시와 최고운 형상

1. 학사루와 모현정

2. 학사루 음영 시의 실제

3. 시에 나타난 최고운

4. 후대인의 학사루 활용

11장 농산정 음영 시와 최고운 형상

1. 농산정의 명칭

2. 현판 시에 나타난 최고운

3. 문헌 소재 시에 나타난 최고운

12장 가야산 음영 시와 최고운 형상

1. 가야산과 최고운

2. 시 속에 나타난 가야산

 

3부 발해 시인들의 시와 지향의식

13장 일본과의 외교에 앞장선 양태사

1. 발해와 일본의 교류

2. 양태사 시의 자아 지향

14장 왕효렴 시에 나타난 지향의식

1. 정사로 일본에 간 왕효렴

2. 같은 시간 다른 공간의 심리

3. 화려한 언어와 내면의 근심

4. 따스함과 차가움의 양면성

15장 왕정균 시의 자아와 외물

1. 발해 유민 왕정균

2. 내면의 위축과 외물의 확장

3. 내면의 갈등과 외물의 형상

4. 내면 갈등과 초월적 진실

5. 시공(時空) 미학과 제화시(題畫詩)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