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국유사, 세계적 위상과 기억
    노중국 외 7저

    0 원
    페이지 : 444
    I S B N : 978-89-7180-653-1
    출판일 : 2024-12-31

삼국유사는 승려가 쓴 역사서라는 점에서 그 유례를 찾기 어려운 책이다. 또한 몽골이 세계 제국을 형성해 가던 시기에 민족의식을 고취시킨 책이기도 하다. 삼국유사에 수록된 단군 신화는 민족을 살리는 힘의 원천이 되었으며, 민족어로 된 향가 14수는 훈민정음 창제의 원동력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특수성을 인정받아 삼국유사202211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목록에 등재된 바 있으며 현재는 국제목록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이 책은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산하의 삼국유사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단이 20249월 개최한 삼국유사국제학술대회 발표 원고 8편을 수정·보완한 것이다. 한국, 이탈리아, 인도, 일본, 중국 등 세계 각국의 연구자들이 삼국유사를 서지학적·불교사적·세계사적·여성적 관점에서 새롭게 분석하고, 수록 신화를 타국의 신화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삼국유사의 세계적 위상을 국내외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있다. 이 책이 삼국유사의 우수성과 세계성을 이해하는 데 좋은 길잡이가 되기를 기대한다.

 

 


지은이

 

노중국 계명대학교 명예교수

한기문 경북대학교 명예교수

최윤정 경북대학교 교수

정진원 동국대학교 교수

주세피나 아우로라 떼스따 이탈리아 로마 사피엔자대학교 교수

칸 앞잘 아흐메드 영남대학교 교수

이토 사토시 일본 이바라키대학교 교수

까오지엔후이 수원대학교 교수

 

 

 

옮긴이

 

칸 앞잘 아흐메드 영남대학교 교수

양철준 서울대학교 비전임교원

차오자요우 경북대학교 객원연구원

이수정 경북대학교 박사수료생

옌쥔루 홍익대학교 교수


 

 



발간사 
Publisher’s Remarks 

일연 스님과 『삼국유사』: 『삼국유사』의 서지를 중심으로 _ 노중국 
번역문 Monk Ilyeon and Samguk yusa: Focusing on the Bibliographic Study of Samguk yusa _ Choong Kook NOH 

불교사적 관점에서 본 일연과 『삼국유사』 _ 한기문 
번역문 Ilyeon and Samguk yusa from a Buddhist Historical Viewpoint _ Kimoon HAN 

몽골의 전쟁과 유럽: 카르피니에서 마르코 폴로까지 _ 최윤정 
번역문 The Mongol Wars and Europe: From Carpini to Marco Polo _ Yoon Jeong CHOI 

『삼국유사』와 여성, 그리고 민중 _ 정진원 
번역문 Samguk yusa, Women, and People _ JIn Won CHUNG 

Myth and History of Samguk yusa: A Contribution to the Case from Italy _ G. Aurora TESTA 
번역문 『삼국유사』에 투영된 신화와 역사: 이탈리아의 시각에 기반한 기여 _ 주세피나 아우로라 떼스따 

Myth and History of Samguk yusa: Focus on the Indian Perspective _ Afzal A. KHAN 
번역문 『삼국유사』의 신화와 역사: 인도의 관점을 중심으로 _ 칸 앞잘 아흐메드 

神国意識の形成とモンゴル侵略期における変容 _ 伊藤 聡
번역문 신국 의식의 형성과 몽골 침략기의 변용 _ 이토 사토시 

『三国遗事』中的神话与中国 文本与现在性研究为中心 _ 高建惠 
번역문 『삼국유사』 중의 신화와 중국: 텍스트와 현재성 연구를 중심으로 _ 까오지엔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