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는 자국의 이익을 추구하며, 꾸준히 확장하려는 속성을 가진다. 그리고 이런 목적을 위해서라면 언제든 이익과 도덕은 분리된다.’ 이런 관점이 아니라면 우리나라의 영토가 분명한 독도에 대한 일본의 억지주장을 이해할 수 없다. 당연히 정리되었어야 할 과거의 문제가 현재의 문제로 남았지만, 안타까운 것은 이것이 앞으로도 단기간에 해결될 수 없는 미래의 문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국가 이익이 개입되어 있고, 국가 간 분쟁을 조율할 국제기구와 국제법은 현재로서는 뚜렷한 한계와 불완전성을 노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절실한 가운데, 학술계에서도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책은 독도 영유권과 관련된 인문학적 연구(정치지리학, 외교학, 국제법학, 역사학)와 자연과학적 연구들을 통합하는 시도로서 발간되었다. 제1부에서 저자는 이러한 독도 관련 각 학문분야의 연구 성과를 하나로 아울러 ‘독도학’으로 정립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기하고, 독도에 대한 우리 정부의 역사적·지리적·국제법적 영토인식 내용을 간략하게 기술한다. 또 여러 선행연구를 토대로 독도의 다양한 이명(異名)에 대해 설명한다. 또 국제법상 영유권 취득 및 변경의 방식에 대해 설명한 후, 독도 영유권 문제의 발단인 일본의 ‘무주지선점론’의 문제점에 대해 설명한다. 제1부가 본격적인 논의를 위한 서론이었다면 제2부~제4부는 이 책의 본론에 해당한다. 저자는 우선 이 책 제5장~제7장에 걸쳐 독도 영유권과 관련하여 국내외의 다양한 증거를 들고 역사정 정황을 설명하며 자세히 다루고 있다. 국가 간 영토 분쟁의 국제 사례의 판례를 통해 독도 문제의 해결 방안도 모색한다. 독도 문제는 기본적으로 ‘영유권 문제’이지만, 이는 결국 ‘배타적 경제수역의 확보 문제’이기도 하다. 제3부(제8장~제10장)에서는 바로 이 ‘배타적 경제수역의 확보 문제’를 다룬다. 마지막 제4부(제11장~제13장)는 독도의 지정학적·전략적 가치를 살핀 후 현재 진행 중인 중국과 일본 간의 조어도 분쟁을 상세히 다루었다.